관악 꿈나무영유아도서관, 인기 비결은
“으아아아~~~ 히히.”23일 워터베드 위에서 방방 점프를 하던 세 살짜리 꼬마가 괴성을 지른다. 얼굴에 장난기가 가득한 남자 아이들은 신이 나서 10분 넘게 뛰는 것을 멈추지 않고 있다. 바로 옆에선 여자 아이가 신나게 미끄럼틀을 내려온 뒤 정글짐으로 뛰어간다. 한편에서는 아이들이 원통으로 생긴 책장에 들어가 동화책을 보고 있다. 올해 여섯 살인 나연이는 이제 두 살이 된 동생에게 무언가를 열심히 설명하고 있다.
어떻게 이런 도서관이 만들어졌을까. 구 관계자는 “어린이 도서관을 이용하려면 그래도 3~4세는 돼야 가능한데 그 전에 책과 친숙하게 만드는 방법이 없을까를 고민하다 이런 공간을 마련하게 됐다”면서 “이용하는 아이들의 나이가 한두 살이다 보니 놀이와 책 보기를 같이 할 수 있게 만든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구에는 꿈나무영유아도서관 외에 행운동에 ‘책이랑놀이랑도서관’과 미성동에 ‘고맙습니다 하난곡작은도서관’ 등 어린이들을 위한 도서관이 두 곳 더 있다. 구 관계자는 “이들 도서관은 놀고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은 제공하되 교육을 강요하지는 말자는 것이 핵심”이라고 전했다.
영·유아 도서관이 문을 연 지 4주밖에 되지 않았지만 엄마들의 반응은 폭발적이다. 난곡에 사는 김모(38)씨는 “벌서 다섯 번째 방문”이라면서 “다른 어린이도서관에 가면 아이들에게 조용히 하라고 주의만 주다가 나오게 되는데 이곳은 놀이공간과 독서공간이 하나로 되어 있어 아이는 물론 엄마들도 훨씬 편하다”고 자랑했다. 놀이를 강조했지만 도서관으로서도 모자람이 없다. 꿈나무영유아도서관이 가지고 있는 장서는 4039권에 이른다.
구는 책과 함께 인생을 시작하자는 의미의 ‘북스타트’ 운동도 진행하고 있다. 구는 매월 둘째, 넷째주 목요일을 ‘북스타트데이’로 지정하고 7세 이하 영·유아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배부한다. 또 다음달부터는 관악문화관도서관, 조원도서관, 책이랑놀이랑도서관에서 엄마와 아이가 함께 인사, 우리몸, 색깔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공부하는 ‘책놀이’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구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식복지의 메카답게 어린이들이 책을 읽는 습관을 갖게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5-02-2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