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기본계획은 20년 후를 목표로 도시의 미래상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공간 구조를 비롯한 토지 이용, 교통, 환경, 주택 등 관련 공간 계획을 조정, 조율하는 최상위 공간 계획이다. 도시기본계획은 이보다 하위 개념인 도시관리계획 수립의 지침이 된다.
시민참여단은 시민 100명과 청소년 30명 등 모두 130명으로 구성된다. 19세 이상 성인의 경우 성별, 지역별, 연령별, 직업별로 무작위 전화 설문 방식으로 모집했다. 청소년은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청 추천을 받았다.
시는 앞서 지난 5월 95개 주민자치센터에 현황판을 설치하고 ‘2030년에는 광주가 어떻게 변했으면 좋겠는가’에 대해 주민들의 의견을 들었다. 시는 이를 토대로 시민참여단 회의를 열고 ▲도시기본계획 이해와 2030년 광주의 미래 ▲광주의 이슈, 바람직한 미래 및 앞으로 광주가 해결해야 할 과제 ▲광주시의 종합적인 미래상(안)과 핵심 이슈의 우선순위 등을 논의한다. 이같이 도출된 과제는 자문위원회와 계획지원단의 검토를 거쳐 기본계획(안)으로 확정된다.
시 관계자는 “행정 주도로 수립했던 삶의 공간 배치 권한을 시민이 직접 짜고 설계하도록 권리를 되돌려줬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15-07-2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