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지난해 9월부터 2개월 동안 실태조사위원회가 지역 항일 현충시설 24곳을 조사한 결과 가이즈카 향나무, 영산홍, 칠엽수 등 8종의 일본산 나무 4910그루가 현충시설에 심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영산홍이 4462그루로 가장 많았으며 가이즈카 향나무가 398그루였다.
시는 이 중 가이즈카 향나무를 이식 또는 제거 대상 수목으로 결정했다. 왜향나무로 불리는 가이즈카 향나무가 처음 대구에 뿌리를 내린 것은 일제강점기인 1909년 1월이었다. 당시 이토 히로부미가 대구를 방문했을 때 달성공원에 2그루를 기념 식수했다. 가이즈카 향나무는 일제가 점령지에 많이 심었던 오사카 지방의 특산종이다.
시가 실태 파악 이후 현충 시설에서 제거한 가이즈카 향나무는 신암 선열공원에 있는 7그루가 전부다. 달성공원 최제우 선생 동상과 석주 왕산 허위 선생 순국기념비에도 101그루의 가이즈카 향나무가 있으나 23그루만 제거하기로 했다. 이마저도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내년으로 미뤘다. 망우당 공원의 임란호국영남충의단 주위에도 22그루의 가이즈카 향나무가 있으나 예산이 없어 제거하지 않고 있다. 시는 45그루 제거 비용을 5억원으로 추산한다. 시 관계자는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선열들의 넋을 기리는 신암선열공원의 경우 그 의미를 고려해 먼저 제거했다. 달성공원과 망우당 공원 등에도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토종 수종으로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15-08-1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