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8일 이태원 지구촌축제
“지난달 3일 아침 터키 해변으로 밀려온 3살짜리 시리아 꼬마의 시신이 공개된 지 1개월여 만에 난민에 대한 관심은 거의 사라졌습니다.”13일 용산구 이태원동에서 만난 난민인권센터 활동가 류은지(27·여)씨는 “난민의 날(6월 22일)에 반짝하는 관심에 우리나라 난민의 상황은 크게 나아지지 않는다”면서 “이태원 지구촌 축제에서 국내외 난민의 상황과 그들을 보호하는 이유를 알리고 난민구호기금도 모금한다”고 밝혔다.
구가 이들을 해마다 60만~70만명의 내·외국인이 몰리는 축제에 초청했다. 축제는 이태원관광특구연합회가 주최하며 오는 17·18일 이태원로~보광로(980m) 구간에서 차량을 통제하고 연다.
류씨는 “유엔 사무총장이 한국인이고, 아시아 최초로 2003년 난민법을 제정하자 난민들이 기대를 하며 우리나라에 오는데 실상은 다르다”면서 “지금까지 난민 지위를 신청한 1만 2000여명 중 단 522명이 지위를 인정받았다”고 말했다. 난민 신청이 부결되고 이의신청과 행정소송을 하는 동안 통상 3년 6개월이 걸린다.
활동가 편세정(28·여)씨는 “각국의 문화를 즐기는 축제에서 난민에 대한 생각도 잠시 해달라”면서 “모금액은 난민들을 위한 생활지원, 법률지원 등에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지구촌 축제의 테마는 난민과 뒷골목이다. 경리단길, 세계음식문화거리, 패션 로데오거리, 앤틱가구거리, 이화상가 골목 등은 저마다 특색이 강하다. 오는 17일 오후 3시 30분에는 지구촌 퍼레이드가 열린다. 1000여명이 400m의 행렬을 만들어 길놀이, 전통혼례, 해외 사절단 등을 연출한다. 퍼레이드 끝에는 충남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전승되는 줄다리기를 연다. 즉석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오후 5시부터 세계민속의상쇼를 녹사평역 주무대에서 열고, 이태원 무대에서 오후 10시 30분까지 지구촌 DJ 페스티벌을 한다. 18일 오전 11시에는 태권도 공연을 하고, 오후 1시에는 과거 시험을 재현한다. 행사기간 동안 78개 세계 음식 부스를 운영한다.
성장현 구청장은 “세계의 문화가 살아 있는 이태원의 진짜 모습을 즐길 수 있는 기회에 많은 내·외국인의 방문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5-10-1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