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주민 174만명 조기 정착 지원
우리나라도 이미 ‘도가니 사회’(Melting Pot)로 불린다. 다민족·다문화 국가로서 도약하는 데 힘을 받았지만 과제도 적잖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계 주민은 2006년 53만명에서 2015년 174만명으로 치솟았다. 17개 시·도 인구와 비교하면 11번째로 세종시(23만명), 제주도(64만명)는 물론 충북(158만명), 대전(153만명), 광주(148만명)보다 많다. 관련 지원정책이 급증함에 따라 일부에서는 내국인에 대한 역차별 논란, 반(反)다문화 세력의 조직화 등 과거에 접하지 못했던 새로운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다문화 정책을 담당하는 안정태 행정자치부 사회통합지원과장은 28일 이렇게 귀띔했다.결혼이민자, 근로자, 유학생 등 다양한 자격으로 입국하는 외국계 주민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게 더이상 낯설지 않습니다. 외국계 주민은 90일을 초과해 거주하는 등록외국인과 우리 국적을 취득한 귀화자 및 그 자녀를 가리킵니다. 가장 중 국적 미취득자가 79%인 137만명입니다. 이들을 보듬는 정책이 까다롭고도 중요한 까닭이죠.
행자부는 외국계 주민의 지역사회 조기 정착을 위해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원조례 제정 및 정비, 전담 부서 설치 및 인력 확충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시스템 구축을 돕습니다. 아울러 외국계 주민이 많은 경기 안산시(8만 3648명), 서울 영등포구(6만 6952명), 인천 남동구(1만 8715명) 등에 지원센터나 다문화홍보관, 다문화경로당, 쉼터 등을 세워 지역 주민과 교류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한편 인천 차이나타운, 서울 용산구 이태원 등에 특화거리를 조성해 세계 각국의 문화를 이해하는 명소로 가꾸도록 애씁니다. 특히 한국어 교육 등 지원사업을 종합·포괄적으로 운영해 지역 실정에 걸맞은 지원을 뒷받침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우리 사회가 ‘다름’이나 ‘틀림’이 아닌 ‘차이’로 인정하고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늘림으로써 소통과 공감을 바탕으로 한 다문화 사회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맡은 바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6-03-2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