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박물관에도 없는 1960년대의 고래 포경포와 우리나라 최초의 어탁도 있다. 수원에서 골동품 판매업을 하던 유씨는 지인의 권유로 1990년대 초부터 낚싯대 등의 어구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유씨는 16년 전 충주로 이사 온 뒤에도 수집을 소홀히 하지 않았다. 어구를 사들이기 위해 땅도 팔았다. 어구를 모은다는 소문이 퍼지자 많은 사람이 어구를 갖다주기도 했다. 초창기에는 낚싯대와 바구니 등 낚시 중심의 어구를 수집했고, 1995년부터는 작살, 그물, 어선용품 등으로 수집 범위를 확대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물고기 관련 생활용품을 본격적으로 모았다. 박물관을 열게 된 것은 열정과 끈기로 수집한 어구가 소중한 역사자원으로 후손에게 물리길 바라서다.
현재 박물관 관람은 장소가 협소해 전화예약(043-855-9006)해야 볼 수 있다. 입장료는 무료다. 유씨는 “골동품을 팔아 어렵게 생활해 아내에게 항상 미안하다”며 “정부나 지자체가 박물관 건립을 지원한다면 수집한 어구를 기증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충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