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진료비 5%↑ 2169억…환자수는 5년새 8.2% 감소
꽃가루 등의 물질 때문에 눈 속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환자 10명 중 3명은 20세 미만 아동·청소년인 것으로 나타났다.2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알레르기성 결막염 진료 인원은 429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10년(467만 7000명)보다는 8.2% 감소했다. 다만 진료비는 지난해 2169억원으로 5.0% 증가했다.
진료 인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10세 미만이 전체의 19.2%로 가장 많았다. 10대도 11.3%에 달해 10대 이하가 전체의 30.5%를 차지했다. 50대(13.8%)와 40대(12.6%)의 비중도 큰 편이었다. 성별로는 여성(58.8%)이 남성보다 많았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알레르기 유발 항원이 눈의 결막에 접촉해 과민반응을 일으키면서 생긴다. 염증 유발 물질은 꽃가루, 풀, 동물의 털이나 비듬, 집먼지 등이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특히 봄철인 4월부터 초가을인 9월에 많이 발생한다. 지난해 월별 진료 인원은 8월(64만명), 9월(63만명), 5월(59만명), 7월(57만명), 4월(56만명) 순으로 많았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예방하려면 정기적으로 집안 환기를 하고 이불, 베개, 카펫 등을 자주 세탁해 집먼지나 동물의 비듬을 없애야 한다.
손을 깨끗하게 하지 않은 채로 눈을 비비거나 만지면서 발병하는 사례가 많아 손 씻기 등 위생 수칙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5-2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