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 시범… 의료서비스도
65세 이상 저소득층 10만여명1곳당 10억 투입 10명씩 입주
|
이재용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장은 “공동생활홈의 도시형 모델을 개발하고 내년도 시범사업을 거쳐 독거노인들에게 공동생활홈을 본격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공동생활홈에 노인 맞춤형 보건의료 서비스와 복지 서비스를 집중해 접근성을 높이고 복지·의료 사각지대를 좁혀 간다는 구상이다.
공동생활홈 입주 대상은 65세 이상 독거노인 가운데 주거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전국 도시 지역의 10만여명이다. 지방자치단체가 도시의 빈집을 매입하면 정부가 리모델링 비용을 지원해 독거노인들이 함께 생활하기에 적합한 공간으로 만들고 신청을 받아 10명 이내의 독거노인을 입주시키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복지부는 공동생활홈을 중심으로 인지 활동을 돕는 각종 프로그램도 운영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치매도 예방하고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한다는 구상을 세웠다. 마을 공동체가 잘 꾸려진 농촌은 이미 이런 방식의 공동생활홈이 운영되고 있다.
이 과장은 “중소 도시는 정부와 지자체 예산을 5대5 비율로 매칭 지원하고 서울 등 대도시는 3대7 비율로 지원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며 “주택 매입과 리모델링, 서비스 지원 비용을 포함해 1곳당 10억여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5-3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