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지사는 2일 수원 광교호수공원에서 지역 국회의원과 도의원, 각 시·군 단체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자원이 순환하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경기도 비전’을 발표했다. 경기도를 자원이 순환하고 쓰레기가 없는 청정지역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거 후 바로 묻는 생활 쓰레기를 하루 305t에서 0t으로 줄이고, 쓰레기 재활용률을 58%에서 67%로 높이며, 사업장 쓰레기 발생량을 1일 1만 6000t에서 1만 5000t으로 1000t 감축하기로 했다.
2일 수원 광교호수공원 마당극장에서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안병용 의정부 시장, 신계용 과천시장, 김윤주 군포시장 등이 ‘생활폐기물 품앗이 소각 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
특히 수원 옛 서울대농생대 부지에 추진 중인 광역 업사이클플라자를 올해 착공, 내년 말 완공하기로 했다. 업사이클플라자는 버려지는 물건에 예술적 가치를 더해 판매하는 시설이다. 공방과 작업장, 전시·판매장, 교육·연구시설 등으로 꾸며지며, 사회적 기업이나 청년 창업자 등이 운영한다. 도는 이밖에 주민 의식 전환을 목표로 하는 자원순환마을을 현재 55곳에서 2020년 110곳으로 늘린다.
남 지사는 “제로 웨이스트는 경기도민이 함께 참여해 쓰레기를 줄이고,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있는 생활 속 실천 과제”라며 “경기도가 자원순화사회 전환을 앞당기고 청정 경기도를 만드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수원과 성남 등 쓰레기소각장을 가진 도내 23곳의 시장·군수는 소각장 가동이 어렵거나 수도권매립지 쓰레기 반입이 어려울 때 협력해 쓰레기를 공동 처리하는 ‘생활폐기물 품앗이 소각’ 협약을 맺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