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워킹맘 걱정 더는 ‘마을공동식당’
“엄마, 아빠가 식당을 하지만 집에선 달랑 멸치 반찬 하나 놓고 먹었어요. 여기에선 엄마처럼 밥상을 차려 주고 같이 공부도 할 수 있어 너무 좋아요.”
|
경기 부천시 여월동 A아파트 단지에 있는 ‘워킹맘 마을공동식당’에서 김모(오른쪽)군과 여동생(가운데) 등이 저녁 식사를 하고 있다. |
|
저녁밥상. |
이는 최근 지역복지관에서 한 소녀가 독서실 사물함에 있는 간식을 훔쳐 먹다가 들키자 잡히지 않았는데도 ‘제가 거지라서 그렇다. 배고파서 그랬다. 앞으로 안 하겠다’는 쪽지를 남겨 사람들의 마음을 안타깝게 한 일이 계기가 됐다. 그래서 식당이 있는 도서관 앞에는 “얘들아, 저녁밥 같이 먹자”란 푯말을 눈에 띄게 세워 뒀다.
저녁 한 끼에 1000원으로 한 달에 2만원이다. 오후 9시까지 돌봐준다. 현재 대기업에서 1000만원을 지원받아 운영한다.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은 부모의 소득과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다. 아이디어는 조도자 재단 실장이 냈다. “자녀 양육 때문에 경력단절을 겪는 엄마들이 일할 방안을 마을공동식당에서 찾았다”며 “부천에서 시작해 다른 지역으로 확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후 7시쯤 되니 열 살인 차모양 남매가 왔다. 피아노 학원에 들렀다가 저녁밥을 먹으러 왔단다. 차양의 부모는 중소기업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는데 밤에 늦곤 한다. 차양도 “집에선 내가 밥상을 차려 오빠랑 먹었는데 여기는 편하다”고 말했다.
마을공동밥상 현장 책임자인 최은경씨는 “워킹맘 저녁밥상은 처음 시도하는 거라 막막했는데 입소문을 타고 신청자가 10명으로 늘었다”면서 “현재 재원으론 연말까지 한시적이라 여러 단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재단은 부천시 산하기관이다. 박성숙 재단 대표이사는 “맞벌이 부부의 자녀 양육은 소득과 상관없이 모두의 숙제”라며 “돌봄 서비스가 골고루 돌아가도록 원도심 주택가와 재래시장, 공공시설 등 지역 상황에 걸맞게 다양한 모델을 꾸려 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금영 부천시 여성정책팀장은 “여성친화도시 부천의 대표사업으로 ‘엄마손 프로젝트’를 추진하는데 워킹맘 가사지원 도우미서비스와 자녀학습 대학생멘토링사업이 있다”며 “이번에 제3탄으로 마을공동식당 지원사업을 벌이고 있으며 진행상황을 지켜본 뒤 내년부터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재단 정책개발팀(070-4457-2611).
글 사진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2016-07-1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