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편익 비율 0.465… 국비 필요
방조제 균열 막고 수위 관리 잘해야
5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농어촌공사는 새만금에 6800억원을 투입해 140㎿ 규모의 조력발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해수면과 새만금호 조위 차를 이용해 밀물 시간에 수문을 열어 발전하는 방식이다. 조력발전할 경우 RE100(재생에너지 100%) 달성, 수산업 복원,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 등 ‘1석 3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새만금 조력발전은 폭이 260m에 이르는 방조제를 헐고 수문과 수차를 설치해야 하고 전기생산은 시화호보다 적어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분석된다. 공사가 자체적으로 비용대편익(BC)을 분석한 결과 0.465에 그쳤다.
2011년 준공된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건설비로 4958억원이 투입됐으나 전기생산은 245㎿로 새만금보다 43%나 많다. 발전 가능 일도 시화호는 월 28일이지만 새만금지구는 17일이다.
시화호는 바닷물과 호소의 조위 차가 평균 5.5m인데 비해 새만금지구는 4.2m로 1.3m 낮기 때문이다. 해수 유통량도 시화호가 1억 4700만㎥인데 비해 새만금은 1억 800만㎥로 차이가 크다.
새만금 조력발전은 안전성도 지적된다. 대형 수차의 진동으로 방조제가 균열할 수 있다. 조력발전 시간에 집중호우가 내릴 경우 1.5m의 관리수위를 유지하지 못하면 바다보다 낮은 새만금지구가 물에 잠기는 참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전주 임송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