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은 3~5일, 10~12일로 나눠 6일간 총 12시간의 교육을 받는다. 중학생은 9일부터 12일까지 4일간 총 8시간의 특강이 예정돼 있다. 접수 신청은 고등학생 3일, 중학생은 4일까지 받고, 근현대사기념관 홈페이지(www.mhmh.or.kr)를 통해 하면 된다.
수업은 국치일(1910년 8월 29일), 3·1절(1919년 3월 1일), 광복절(1945년 8월 15일), 4월 혁명기념일(1960년 4월 19일) 등 역사적 사건을 기리기 위한 기념일이 언제, 어떻게 제정됐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그날’ 이후 우리의 역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도 청소년들에게 알려줘 우리 현대사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시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여기에 3·1운동 선언서 만들기, 기념관 주변 순국선열묘역 탐방 등 그룹활동도 더해진다.
수업이 진행되는 근현대사기념관은 동학농민운동과 항일의병전쟁, 3·1운동과 임시정부, 독립투쟁과 해방 및 대한민국 정부수립 등 구한말에서부터 광복 이후 대한민국의 오늘까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전시하고 있다.
박겸수 강북구청장은 “‘북한산역사문화관광벨트’의 가장 핵심사업인 근현대사기념관을 통해 청소년과 시민,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근현대 역사를 정확히 알리고 지역사회 발전에도 힘써 강북구를 역사문화관광의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6-08-02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