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 구청장 ‘통합’을 건립하다
“수십년간 가리봉동은 ‘희망’과 ‘아픔’이 공존해 온 동네입니다.”22일 서울 구로구 가리봉동에서 만난 이성 구로구청장은 ‘가리봉동’을 이같이 설명했다. 1970~80년대 구로공단이 대한민국의 제조업을 이끌던 시대에는 희망을 찾아 전국에서 노동자들이 모여들었지만 공단이 디지털단지로 변모한 후에는 싼 숙소를 구하는 중국동포와 외국인노동자들의 거주지가 되며 쇠퇴했기 때문이다. 구로구에 따르면 지난해 7~9월 기준으로 가리봉동 1만 9000여명의 주민 중 중국동포의 비율은 40.5%에 이른다. 가리봉동 내 기초생활수급자 비율도 4.7%로 서울시 평균 2.1%보다 훨씬 높다. 꿈을 꾸는 사람들의 동네였지만 힘겨운 삶을 이겨내야 하는 아픔의 장소로 바뀌고 있다는 얘기다.
서울 구로구가 가리봉동에 종합적인 가족정책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족통합지원센터’를 서울시 최초로 건립한다고 22일 밝혔다. 센터를 중심으로 재생사업을 펼쳐 가리봉동을 꿈을 꾸는 동네로 복원시키겠다는 게 이 구청장의 계획이다. 가족통합지원센터의 착공은 올해 12월 이뤄지고 완공은 2018년 3월 예정이다. 센터 건립에는 국비, 시비, 구비 등 총 122억원이 투입된다. 연면적 4300㎡, 총 6층 규모로 건립되는 가족통합지원센터에는 가족지원시설, 작은도서관, 상담실, 교육실, 직업훈련실, 지역아동센터 등이 모두 들어선다.
특히 그동안 다문화가족, 중국동포를 지원해 오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저소득 취약계층을 지원하던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까지 한곳으로 통합돼 내·외국인이 함께 어울리는 공간으로 거듭난다.
또한 지상 1층에는 가리봉동 주민센터가 이전해 주민들은 원스톱 종합복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구로구는 센터 건립 외에도 가리봉동의 복원을 위해 수많은 재생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가리봉시장 현대화 사업, 현장소통마당과 안심길 조성, 마을학교 등 마을공동체 역량 강화, 국제초등학교 건립 추진, 우마길 문화의 거리(연변 거리) 조성 등이 대표적인 정책이다. 1970년대 구로공단의 열악한 근로자 숙소를 가리켰던 이른바 ‘벌집’도 전시회나 음악공연을 하는 복합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6-08-2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