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차인 올해는 폐기물관리 제도를 주제로 22일부터 6월 3일까지 실시한다. 내년에는 상·하수도 관리제도를 주제로 운영할 계획이며 3년차인 2019년에는 3개국 현지에서 성과보고 세미나를 개최해 2년간의 운영성과를 점검키로 했다.
이들 국가들은 상·하수도와 폐기물 분야가 최대 현안이다. 콜롬비아는 일평균 3만 2000t에 달하나 재활용률이 17%에 불과한 고형 폐기물 관리 체계 개편을 기대하고 있다. 파라과이는 2012년 기준 각각 11%, 3%에 불과한 관거보급률과 하수처리장 설치율을 2018년까지 약 50%로 확대할 계획이다.
환경인력개발원은 참가국들이 각국의 상황을 고려해 활용, 개선할 수 있도록 현장 견학 등 맞춤형 교육 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
연수 후에도 정책자문과 전문가 파견, 워크숍 등 사후관리를 강화, 지원할 예정이다. 박광석 환경인력개발원장은 “환경정책 연수는 한국의 정책 현지화 촉진 및 이를 통한 국내 산업의 진출을 뒷받침하는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7-05-2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