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이익환원·지배구조 등 평가
착한 기업엔 사회적 투자 늘려‘사회책임투자위’ 신설 운영 결정
앞으로 가습기 살균제와 같은 사회적 물의를 빚은 기업에 투자를 제한하는 등 국민연금의 사회적 투자를 강화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이달 중으로 기금운용위에 이런 방안을 보고해 논의할 계획이다.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 사회책임투자위원회를 구성하고 운영규정을 만들 방침이다. 사회책임투자 가이드라인 등도 제정할 계획이다.
사회책임투자는 환경, 이익의 사회환원, 지배구조 등의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착한 기업’을 선별해 투자하는 방식을 뜻한다. 단순히 실적을 많이 내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아닌 만큼 투자 지형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은 그동안 사회적 투자에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국민연금의 지난해 사회책임투자펀드(SRI) 투자 규모는 6조 3706억원으로 2015년보다 5137억원 줄었다. 이는 국내 주식 위탁유형 중 하나인데, 국내 주식 위탁 규모와 비교했을 때 SRI펀드 비중은 2015년 15.1%에서 지난해 13.4%로 떨어졌다.
아울러 사회적 문제를 가져온 기업이라도 수익성을 토대로 투자해 국정감사 때마다 지적을 받았다. 실제로 지난 3월 기준 가습기 살균제 관련 기업 투자액은 2조 7578억원(평가금액 기준)으로 지난해 말 대비 9.1%(2301억원) 증가했다. 2013년과 비교하면 50.5%(9255억원) 늘어난 규모다.
또 일본 전범기업에 대한 투자는 2013년 말 51개 기업 6008억원(평가금액 기준)에서 올 6월 73개 기업 1조 3699억원으로 증가했다. 3년 새 투자기업 수는 1.4배, 평가금액은 2.3배 많아졌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