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고속터미널, 지하·입체화… 60층 복합개발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서울시, 시립대·광진·도봉구에 체력인증센터 마련…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기술력’ 서초 서리풀뮤직페스티벌 211억 효과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구로구, 첨단 보행재활로봇으로 스마트도시 인증 재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주제 적합성·완성도 따져 4개 등급 다면평가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관련분야 전문가 44명 현장 모니터링

해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새로운 축제가 쏟아진다. 뚜렷한 테마나 연속성이 없는 탓에 이른바 ‘풍요 속 빈곤’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연간 410여개 축제가 열리는 서울시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런 배경 속에서 2011년부터 시작된 게 축제 평가 연구 사업이다. 서울시 및 산하 기관에서 직접 개최하거나 지원하는 민간 축제 가운데 예산, 시행 연도 등 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을 선정해 종합적인 평가를 하는 것이다. 축제별 개최 결과와 성과를 진단해 축제의 전반적인 질적 성장을 유도한다는 취지다.

서울시 산하 서울문화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평가가 이뤄진 축제는 75건이었다. 이 중 민간 축제 35개를 제외하고 서울시와 25개 자치구에서 개최한 축제 40건이 평가 대상에 올랐다. 평가는 축제 콘텐츠, 운영, 홍보, 시민 향유 및 참여 현황 등 크게 네 가지 지표로 나눠 실시했다. 축제 주제의 명확성, 프로그램의 완성도 등 콘텐츠 관련 항목부터 예산 편성의 적정성, 돌발 상황에 대한 대비 여부 등 사전 준비, 관람객 만족도 등의 항목을 기준으로 다면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평가 결과는 가~라 4개 등급으로 구분해 해마다 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이 공동 발간하는 서울시 축제 평가 연구 보고서에 실린다. 지난해에는 강동선사문화축제, 서울거리예술축제, 서울김장문화제, 서울문화의밤, 신촌물총축제, 한성백제문화제, 서울장미축제 등 14개 축제가 가장 높은 평가인 가 등급을 받았다.

평가는 서울문화재단 축제지원센터 소속 평가 연구진이 수행한다. 축제 및 문화 전반 관련 분야에서 경력이 10년 이상인 실무자나 이에 준하는 경력을 가진 전문가 평가위원 44명이 각 축제 기간 중 1일 이상 현장 모니터링을 나간다. 지난 7년간 평가에 참여한 홍철욱 강북문화재단 문화사업팀장은 “축제의 목적, 유형이 워낙 다양해 단편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정체성에 걸맞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 좋은 점수를 준다”고 설명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8-05-0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마포 녹색 환경 ‘나무 주치의’가 책임진다

나무의사협회 서울지회와 협약 수목 병충해 진단·관리 등 교류

송파 풍납시장, 낡은 간판·어닝 바꿔 산뜻한 ‘새

140여개 점포 대상 개선사업 완료 입구 조형물도 풍납토성 특색 담아

강남, 차병원 손잡고 학대 아동 보호

전담의료기관 지정 업무협약

강서 1인 가구 ‘소확행 트리’로 힐링[현장 행정]

성탄 장식 함께한 진교훈 구청장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