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북·충남·세종 시·도지사 협약
시·도별 인프라로 저비용·고효율 기대공동개최로 ‘빚더미’ 전례 깰지 주목
양승조(왼쪽부터)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이 7일 대전시청에서 2030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나란히 협약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대전시 제공 |
허태정 대전시장, 이시종 충북지사, 양승조 충남지사, 이춘희 세종시장은 7일 대전시청에서 업무협약을 맺고 “최고 경제성장률을 자랑하는 권역이라 국제스포츠대회를 개최할 저력을 지녔다. 560만 충청인의 염원과 역량을 모으겠다”고 천명했다.
이들은 곧 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회 등에 합의서를 전달하고 올해 말까지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에 공동유치 의향서를 낸다. 이를 위해 시·도별 태스크포스(TF)를 만들고 아시안게임 기본계획 등을 담을 연구용역에 들어간다. 굳은 의지를 알려 유치경쟁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에서 의향서를 접수하는 2020년 이전에 서두른다.
공동개최에 성공하면 4개 시·도 스포츠 인프라를 활용하기 때문에 ‘저비용·고효율’이란 올림픽 어젠다에 부합하는 모범 대회가 될 수 있고 시·도별 부수 효과도 클 것으로 보인다. 세종시는 대회를 개최할 2030년 행정수도 건설을 마무리하는 덕분에 ‘명품’ 행정도시를 국제적으로 알려 위상을 드높일 기회로 기대한다. 충남은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능산리 고분군을 비롯한 백제역사유적지구 등 백제 문화관광도시로 눈길을 끌 수 있다.
대전은 동북아시아 과학수도로서의 위상을 다지겠다고 벼른다. 시는 이에 걸맞게 ‘4차산업혁명 특별시 건설’을 목표로 내걸었다. 충북은 청주공항을 아시아 관문공항으로 도약시킬 계기로 본다.
2014 아시안게임 개최로 빚더미 논란을 부른 전례와 달리 공동개최로 비용부담을 덜 수 있는 것도 이점이다. 1951년 인도 뉴델리를 시작으로 4년마다 열리는 75억 아시아인 축제인 아시안게임은 2022년 중국 항저우, 2026년 일본 아이치·나고야로 정해졌고 2030년 대회는 2023년 전에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1986년 서울, 2002년 부산, 2014년 인천에서 열렸다.
대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9-02-08 1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