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문 제주도교육감 인터뷰
“한 개 질문에 백 개 생각 존중하는 교육기존 교육 과감히 탈피… IB 신뢰성 인정” 이석문 제주도교육감은 7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제주가 선도적으로 국제바칼로레아(IB)를 도입해 정답에 맞춰 아이들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부인해야 했던 기존 교육에서 과감하게 탈피해 나가겠다”며 “IB 도입 흐름을 외면하고 싶어도 외면할 수 없고 새로운 대안으로 확산시켜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왜 IB인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정의하면 ‘정답이 없다’일 것이다. 인공지능 기술이 어디까지 진화할지 정답이 없다. 아이들은 정답이 없는 미래를 살아야 한다. 미래의 아이들이 인공지능과 공존하며 살아야 한다. 이런 변화 앞에 교육은 무엇을 할 것인가. ‘한 개의 질문, 한 개의 정답’을 요구하는 2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으로 미래를 대비할 수는 없다. 한 개의 질문에 백 개의 생각을 존중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 문제는 신뢰와 공정성이다. 그동안 많은 새로운 평가 방식이 제안되고 도입됐지만 이를 해소하지 못했다. IB는 50년 이상 신뢰와 공정성을 인정받고 있다. 전 과목 논술·서술형 평가여서 아이들의 다양한 생각을 포용, 존중하는 문화가 있다. 대입 체제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논술·서술형 수능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새로운 수능 체제를 수립하는 데 IB가 좋은 모형이 될 것이다.”
-IB 도입을 앞두고 일부 반대 목소리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내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정시 확대’를 언급했다. 그다음 날 김진경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 의장이 중장기적으로 수능에 서술형·논술형 문항을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도 대통령 언급에 비판 성명을 냈다. 대입 체제 변화에 대한 뜨거운 공론장이 만들어졌다. 현행 수능 체제는 변화의 기로에 놓일 수밖에 없다. 공정성을 실현하고 격차와 불평등을 해소하는 대입 제도로 변화하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 관건은 새로운 제도의 신뢰성이다. 이는 정시 확대 논쟁으로 해결될 게 아니다. 대안을 마련하는 데 논의를 집중해야 한다. 공정·신뢰성을 갖춘 IB가 새로운 대안을 만드는 모형이 될 것이다. 새로운 대입 체제를 만드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IB는 활발한 공론의 과정을 거칠 것이다.”
“IB가 ‘2015 개정교육과정’과 충돌한다는 오해가 있는데 아니다. 기존 국가교육과정과 병행한다. 2015 개정교육과정의 교과와 IB 교과에는 차이가 거의 없다. 그러나 수업과 평가방식은 달라진다. 교과서는 참고자료로 쓰면서 교사들이 자유롭게 교과별 교육과정을 구성, 운영하게 된다. 우리 교육과정 콘텐츠를 사용하며 IB 교수법을 적용한다. IB 고등(DP) 과정은 일부 콘텐츠를 제시하나 우리 교육과정과 병행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가장 달라질 것은 교사들의 역할이다. IB가 구성되면 수업에 대한 참여도와 아이들의 성장도가 이전보다 더 높아진다.”
-일부에서는 IB가 교육양극화를 부채질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오히려 그 반대다. 지금까지는 IB를 받으려면 국제학교에 다녀야 했다. 오히려 이게 교육의 양극화를 부채질했다. 이젠 공립학교에서 한국어로 IB를 받을 수 있다. 특히 제주는 읍면 고등학교부터 시작한다. 약한 곳부터 변화의 성과를 만들면서 그 범위를 중심축까지 확대하겠다. 제주가 물꼬가 돼 한국어 IB를 전국 공립학교에서 받을 수 있다면 이는 양극화를 해소하는 것 아닌가.”
-IB 도입은 교원역량이 관건이라는 지적이 있다.
“이미 교사 연수를 계속 하고 있다. 앞으로 IB 후보 학교에 투입할 교사를 대상으로 정식 연수를 한다. 한국 교사들의 수준과 능력은 전 세계 최고 수준이다. IB라는 새로운 기회를 맞아 교사들의 전문성과 역량이 미래 지향적으로 꽃필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데 주력하겠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19-11-08 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