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 제공 |
이 의원은 이 자리에서 4차 산업혁명, 코로나 등 급변하는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교육을 준비하기 위해 기존 학교 공간의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의원은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인 4차 산업혁명시대를 논하기 시작한지 얼마 안된 것 같은데, 코로나19의 확산은 학교, 집, 회사 등 모든 공간이 코로나-19의 영향을 받고 있다”며, “원격수업과 VR등을 활용한 체육 수업 등 우리 학생들은 뉴노멀 세상에 살고 있다. 정형화된 기존 학교의 틀을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맞추어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이 의원은 “질병 예방활동이나 체력 증진 운동 등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며, 학생 스스로 건강하게 살아가는 법을 습득할 수 있는 보건교육거점학교·건강공감학교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 내 보건교육거점학교는 7개교(특수 1개교, 초 5개교, 중 1개교), 건강공감학교는 13개교(초 6개교, 중 5개교, 고 2개교)가 선정·운영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