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환경 지키고, 관광·포상까지… 지자체는 지금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The 경기패스’ 미리 신청하세요… 교통비 최대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기초학력은 인권 문제… 공교육 강화해 사교육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전남 ‘해상풍력사업’ 쌩쌩 돈다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전자파 쏘며 깊이 1.5m 두 번 스캔… 지반침하 70% 감소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GPR 차량으로 이동식 탐사 효과


서울시가 지반 침하 방지를 위해 땅속 공간인 ‘공동’을 탐사하는 데 도로 내시경 장비인 ‘지반탐사장비’(GPR)를 활용하고 있다. 예전에는 사람이 직접 걸어다니며 공동을 발견했다면, 이 장비는 차량을 타고 이동하면서 도로 아래 상태를 살피는 방식이다.

●‘국산 기술’ 장비 싣고 달리며 데이터 수집

서울시에 따르면 GPR 장비는 전자파를 지반에 투과해 지하의 공간 현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장비는 시가 2015년 국내 최초 국산기술로 제작했다. 운행속도는 시속 15~30㎞이며 조사 폭은 2m, 깊이는 1.5m 이내로 가능하다. 땅속 깊이를 1.5m로 제한한 이유는 지반이 바로 침하될 만한 곳을 찾는 게 목적이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GPR 장비를 이용해 서울시 도로 전체를 5년에 걸쳐 탐사한다. 땅속에 공간이 있으면 지반 침하 가능성이 있기에 도로 전수조사를 통해 사전에 조치하게 된다.

시 관계자는 “도로교통법상 탐사장비가 차폭을 넘으면 안 되기 때문에 서울시의 모든 도로 가장자리에 붙여 두 번씩 조사해야 완벽하게 탐사할 수 있다”면서 “이 장비를 이용해 탐사를 시작한 2015년 이후 지난해까지 지반침하 사고가 70% 정도 줄었다”고 전했다.

●굴착 없이도 복구재 채워 사고 예방

차량 안에는 큰 모니터가 있으며 차량 외부에 달린 GPR 장치가 도로 위를 지나가면서 땅속의 빈 곳이 나오면 신호를 보낸다. 차량 탐사로 공동이 확인되면 핸드형 GPR로 사람이 직접 해당 지표를 정밀하게 탐사하고, 공동으로 확인되면 굴착해 복구까지 이어진다. 그동안에는 공동이 발견된 후에 굴착해 복구했다면, 지금은 굴착작업 없이 공동 내부에 내시경을 투입해 복구재를 주입해 복구한다.

시 관계자는 “실례로 2018년 용산 상가 건물 붕괴 때에는 사고 원인을 찾기 위해 이 GPR 장비가 출동해 사고 건물 주변 도로 4.5㎞ 구간에서 공동 탐사를 진행하기도 했다”고 귀띔했다.

한제현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은 “GPR 장비는 차량에 탐사레이더(GPR)를 부착해 공동 탐사와 조사분석을 병행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이라면서 “지반 침하에 대비해 공동을 탐사할 수 있는 장비를 국산화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20-12-25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