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나눔]
마라톤 동호회 연습 많은 인천대공원서“숨이 막혀서…” 턱스크·노마스크 달리기
산책 나온 시민들 “출입 막아달라” 원성
지난 14일 토요일 오전 5시30분쯤 인천대공원에서 마라톤 동호회원들이 달리고 있다. 마스크를 썼지만 입만 가린 경우도 있으며, 남의 눈치에 아랑곳 없이 아예 착용하지 않고 달리는 사람도 있다. |
연간 400만명이 찾는 인천대공원이 아마추어 마라톤 동호회원들의 ‘훈련 최적지’로 각광 받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의 4차 대확산 이후 마스크 착용 여부를 두고 동호회 회원들과 일반 방문객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
15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 남동구 장수동 해발 160m 관모산 북쪽 266만 5000㎡에 위치한 인천대공원은 정문에서 후문을 거쳐 군부대를 돌면 마라톤 연습에 최적인 10㎞거리가 나온다. 특히 주차장이 넉넉하고 호수와 꽃길, 적당한 경사지의 언덕도 있어 마라톤 연습을 하기 더 없는 장소로 손꼽힌다.
때문에 인천지역 10여개 마라톤동호회는 물론, 인접한 경기 부천과 시흥지역 동호회원들도 즐겨 찾고 있다. 토요일과 주말 또는 휴일에는 하루 200명 전후가 인천대공원에서 훈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혼자 또는 2~4명씩 짝을 이뤄 주말 오전 5시부터 달리기 연습을 한다. 그러나 절반 이상이 마스크 착용을 제대로 안 해 일반인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지난 14일 오전 4시55분. 아직 어둑한 시간이지만 인천대공원 정문 안으로 마라톤 복장을 갖춘 남녀 아마추어 마라토너들이 하나 둘 들어섰다. 날이 밝기 시작하는 오전 5시30분이 넘자 2~4명씩 짝을 이룬 동호회원들이 점점 더 많이 눈에 띄었다. 회원의 절반 이상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 입만 가린 사람, 턱스크를 한 사람, 손에 들고 뛰는 사람 등 각양각색이었다. 이들은 “마스크를 쓰고 마라톤처럼 장거리 달리기를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 “2~3배는 힘들고 숨을 쉴 수가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모씨는 지난 11일 인천시 시민청원게시판에 “마라톤 동호회원들의 토요일 인천대공원 출입을 막아달라”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그는 “인천대공원은 휴식과 산책 등 많은 시민이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인천 유일의 공간”이라면서 “확진자가 많아 걱정이 태산인데, 주말마다 동호회원들 상당수가 (마스크를 제대로 쓰지 않고) 마라톤을 한다”고 지적했다.
글 사진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21-08-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