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맞지 않는 공원 시설 다수
약자와의 동행은 이동약자‘도’ 편리한 공간 조성에 있어
|
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소속 박춘선 의원(강동3·국민의힘)은 지난 10일 서울특별시의회 제315회 정례회 푸른도시여가국과 서울대공원 행정사무감사에서 오 시장의 ‘약자와의 동행’ 약속 이행을 점검하고 적극적인 행정 추진을 요구했다.
푸른도시여가국에서는 ‘12년부터 매년 2억에서 10억 원의 사업예산으로 ‘무장애 친화공원 조성 사업’과 ‘11년부터 현재까지 총 69.8km에 달하는 ’무장애 숲길(근교산 자락길)‘사업을 펼쳐왔고 2015년 ‘서울시 무장애 친화공원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고 ‘무장애 친화공원 기본계획’을 수립해 공간 조성의 기본 방향을 설정했다.
그러나 박 의원에 따르면, 많은 노력이 있었음에도, 서울시 관리 공원 내 이동약자에 대한 배려가 미진하고, 심지어 ‘무장애 친화공원 조성 사업’ 대상으로 정비가 이뤄졌음에도 친화공원 가이드라인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사례도 다수인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서울시내 주요 공원 현장을 둘러 본 박 의원은 ▲데크를 설치했으나 높이 차이로 인해 일반 이용자들에게도 안전 위험이 있는 사례 ▲도로 포장이 평탄하지 않아 보행이 어려운 사례 ▲장애인 주차장이 규격에 맞지 않는 사례 ▲휠체어나 유모차 이용자가 사용하기 어려운 야외탁자 ▲휠체어나 유모차 진입이 어려운 휴게공간 진입부 등의 문제를 지적했다.
또한 박 의원은 “‘21년 서울시 인구 9,443,722명중 65세 이상 노령인구가 17.4%, 임산부 및 영·유아 동반자가 3.0%, 등록장애인 4.2%로 전체 서울시 인구의 24.6%를 차지해, 4명중 1명은 이동약자로 보아도 무방하다”라며 “이동약자와의 동행을 위한 무장애공원 조성은 선택사항이 아닌 필수사항이다”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박 의원은 “푸른도시여가국이 기본과 원칙에 충실해 휠체어, 유모차, 아이가 모두가 평등하게 공원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유익한 사회가 되길 기대한다”라는 바람을 밝혔다.
끝으로 박 의원은 “서울 시민들에겐 휴식이 되고 그곳에 가면 치유가 되는 공간, 사람 친화적인 명소가 될 수 있도록 적극 행정과 홍보에 많은 고민과 노력을 해달라”라고 당부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