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당시 내세운 4가지 기대효과... 5년 지난 지금 실익 없어
안전강화·비용절감 분야, 인력감축 실패로 비용절감 및 시설개선 미흡
시민편의 분야, 유실물센터 등 통합 운영 효과 시민 체감 어려워
수도권 도시철도 통합 진척 미진
인력구조 개선 분야, 직급체계 여전히 호리병형 인력구조 나타나
경영혁신도 중요하지만 양 공사 직원간 융화가 중요
과거 서울시 지하철 관리·운영은 서울메트로(’81년 출범, 1~4호선)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93년 출범, 5~8호선)로 분리된 양공사 체제로 관리·운영했다.
또한 서울시는 “지하철 양공사 통합 혁신 추진”을 시작으로 한 차례 노사정 합의안이 부결에 따른 통합논의가 중지된 바 있지만 이후 통합 논의가 재개돼 양공사가 통합된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했다.
소 의원은 “서울시는 양공사의 통합을 통해 중복되는 지출을 줄이고 절감된 비용을 안전 등 필요한 분야에 투자하고자 했으나 5년이 지난 지금 당시 예견했던 통합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 유감”이라고 밝혔다.
또한, 소 의원에 따르면 “통합 당시에 발표한 기대효과로 안전강화. 비용절감, 시민편의 인력구조 개선 등이 있는데 안전강화 및 비용절감 분야는 인력감축을 통한 개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서울교통공사 인력감축은 이뤄지지 않아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고 밝히고 “시민편의분야 또한 유실물센터 통합 등은 이용시민들로 하여금 통합운영의 효과를 체감하기 어렵고 수도권 도시철도(9개 운영기관) 통합 또한 진척된 바 없다”고 지적하며 “인력구조 또한 5,6급 직원이 저조한 과거의 호리병 형태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