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 인원 파악해 위험도 알려인파측정센서 추가 설치도 고려
연말 종로 보신각 타종행사 적용
자치구 CCTV 공유 법개정 필요
6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연말을 앞두고 이태원 참사와 같은 인파 밀집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CCTV와 AI 등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인파밀집도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경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시범 적용할 계획이다. 연내 실증사업 방식으로 시범 적용될 예정이며, 인파가 집중되는 종로구 보신각 타종행사 등이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달 서울시의회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CCTV와 AI를 도입해 (인파 밀집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보완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시는 시 산하 서울디지털재단으로부터 기존 CCTV를 활용해 인파밀집도별 안전경고를 할 수 있는 기술을 보고받은 상태다. 예를 들어 CCTV를 통해 확보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1㎡ 안에 운집해 있는 인원을 파악하고 인원별로 정해진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안전관제센터에 알리는 식이다. 여기에 인도가 좁아진다거나 경사도가 큰 경우 등 CCTV가 설치된 지역의 특성별로 위험 가중치가 적용된다. 이태원 참사 이후 강남구·광진구 등 서울 자치구에서 개별적으로 CCTV의 ‘피플카운팅’ 기술을 활용한 인파밀집지역 위험 감지 및 경고 시스템을 적용 중인데, 시는 이보다 명확한 기준과 세분화된 기술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현재로선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25개 자치구에서 자체 설치한 CCTV 화면을 제3자인 서울시가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은 어려워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시 관계자는 “기술력은 확보돼 있지만 이를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령 정비 등이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각 자치구 및 행정안전부 등과 해당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는 기존에 설치된 CCTV 외에 센서를 설치해 인파밀집도를 관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보신각 타종 행사가 열리는 종각역 주변 등 연말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인파 측정 센서를 추가 설치해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해당 센서는 단순히 특정 면적 내의 사람 수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외부 요인을 통해 위험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재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