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사학 매도 말라’ 공개 입장문
최근 전남도의회 찾아 난상토론
“왕인·담징은 일본서기에만 등장
그 인명 쓰면 다 식민사관이냐”
의견서 받아 공개토론회 열기로
시민단체 “우릴 日 후손 만들어”
7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전라도 천년사’는 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아 2018년부터 2022년까지 3개 광역단체(광주시·전남도·전북도)가 추진한 역사서 편찬 사업이다. 역사와 문화, 예술 등 각 분야의 전문가 213명이 집필진으로 참여했다. 당초 천년의 역사가 오천년사로 확대되면서 5년여 만에 34권 1만 3559쪽에 달하는 책이 만들어졌다.
전라도 천년사가 ‘일제 식민사관’에 기초해 서술됐다는 주장이 논란의 쟁점이다. ‘일본서기’의 지명과 인명 인용이 문제가 됐다. 시민단체의 주장에 정치권까지 가세해 전남도의회는 전면 폐기를 촉구하기도 했다.
‘전라도오천년사바로잡기 전라도민연대’는 “전라도 천년사가 ‘임나(任那)일본부’ 설의 근거로 쓰인 ‘일본서기’ 기술 내용을 차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남원을 기문, 장수와 고령을 반파, 강진과 해남을 침미다례, 구례와 순천을 사타라는 임나 지명으로 기술해 전라도민을 일본인의 후손으로 만들었다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전라도 천년사 편찬위원회는 지난달 입장문을 발표하고, 반발이 심한 전남도의회를 찾아 유감을 표하며 난상토론도 벌였다.
편찬위에 따르면 일본에 천자문을 전한 왕인박사, 불교를 전해 준 노리사치계, 일본 세계유산 1호인 법륭사 금당에 벽화를 그린 고구려 승려 담징 등이 모두 ‘일본서기’에만 등장하는 인물이다. 따라서 ‘일본서기’의 지명이나 인명 인용을 무조건 식민사학이라고 매도하면 대한민국 건국 이후 현재까지 간행된 모든 교과서와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도 식민사관의 역사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조법종(우석대 교수) 간사는 “임나 지명의 경우 ‘일본서기’(720년)가 나오기도 전인 서기 400년 광개토왕비문에 이미 기록돼 있고, 중국기록(660년)과 삼국사기에도 사용됐다”면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앞둔 가야고분군과 관련해서 학계와 남원시가 ‘기문 가야’ 표기의 정당성을 인정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편찬위는 비난이 아닌 공개 사이트의 ‘의견서접수’를 통해 의견을 제시해 달라고 당부했다. 편찬위 관계자는 “천년사에 대한 맹목적 편견을 바로잡기 위해 앞으로도 공개토론 기회를 만들어 천년사가 사실에 기반해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설정욱 기자
2023-06-08 1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