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학교, 병원 등 수돗물 다량 소비처에 설치하는 저수조
유충 및 탁한 수돗물 등 저수조 관련 문제 다수 발생
“안전하고 건강한 아리수 공급 위한 대책 마련 촉구”
박 의원은 “저수조는 수돗물을 다량 소비하는 아파트, 학교, 병원 등 수돗물을 비축하는 시설로,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라며 “저수조 관리 부실로 내부의 이물질이 수돗물에 섞이거나, 저수조 내부에 세균이 번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최근 일부 아파트에서는 저수조 유충 발생 및 탁한 수돗물이 나오는 사고가 발생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런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저수조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지만, 상수도사업본부가 제출한 저수조 관리 실태 점검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2년도 1985 점검 대상 중 481건, 2023년 상반기 1154 점검 대상 중 239건의 관리실태 부실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이들 점검 사례 중 관리자 교육 미이수가 2022년도 287건으로 전체의 60%, 2023년도 112건으로 전체의 47.8%를 차지했다.
박 의원은 “저수조의 관리 책임은 해당 건물 관리자에게 있지만, 수돗물을 이용하는 시민들 입장에서는 상수도사업본부에 가장 일차적 책임을 묻게 된다”라며 수돗물 관리 실태 점검에만 그치고 있는 상수도사업본부의 미온적 태도를 꼬집었다.
박 의원은 저수조, 나아가 수돗물이 나오는 수도꼭지까지 상수도 사업본부가 관리책임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수조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교육이수를 독려해야 하며, 저수조 내부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