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가든스 바이 더 베이 슈퍼트리에서 영감 받아 진행된 ‘한강 슈퍼트리 조성사업’
청담대교 교각에서 뚝섬 유휴교각으로 대상지 변경, 사업 명칭도 ‘뚝섬 유휴 교각 경관개선 사업’으로 변경
설계공모로 지난 7일 접수된 39개 작품 심사해 당선작 선정
당선작은 건축형 구조물로 이동약자 접근성 고려되지 않고 보행 안전도 우려
‘현장 속으로, 시민 곁으로’, 서울시의회 박춘선 의원(국민의힘·강동3)이 지난 13일 열린 제321회 정례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소관 미래한강본부 2일차 행정사무감사에서 뚝섬 한강시민공원에 추진되고 있는 ‘슈퍼트리 조성사업’(‘뚝섬 유휴 교각 경관개선 사업’으로 명칭 변경)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슈퍼트리 조성사업’은 한강 교각 녹화를 통해 미관을 개선하고, 조명과 음향을 가미해 한강의 관광성과 매력을 높인다는 목적으로 계획됐다. 올 7월부터 사업을 착수해 2024년 6월 사업 완료를 목표로 하였으며, 사업비는 약19억 1700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본 사업은 곧 난항에 부딪힌다. 사업대상지였던 청담대교 관리부서인 서울시 도로시설과와 시설공단에서 교량안전 문제로 청담대교 교각 녹화에 난색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에 사업대상지는 뚝섬공원내에 있는 유휴교각 2개소로 변경된다.
사업대상지 변경 이후 곧 설계공모가 진행됐으며 지난 7일 접수된 39개 작품에 대한 심사를 거쳐 건축사사무소 눅의 ’다시 구조체로‘가 당선작으로 선정됐다.
박 의원은 “싱가포르의 슈퍼트리는 그 공간에 있기 때문에 특징적이고 멋이 있는 것”이라며 “자칫 뚝섬에 조성된 공간이 슈퍼트리도 아니고 기묘한 아류작으로 남을 수 있다”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박 의원은 정말 명소를 만들어야 한다면, 현장을 둘러본 뒤 자세히 사업성을 검토하고 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것이 기본인데, 서둘러 사업을 추진하는 문제를 꼬집으며 “미래한강본부가 추진하는 사업들이 시민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시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관련 기관과의 협의를 철저히 한 후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라고 기본에 충실한 자세를 갖출 것을 요구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