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통합지원사업단 ‘든든한 울타리’
“예기치 못한 임신으로 위기 상황에 놓인 저 같은 청소년들이 고민하지 말고 상담을 시작했으면 좋겠습니다.”10대인 A씨는 남자친구와 교제하던 중 임신 사실을 알게 됐다.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를 찾던 A씨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1551-1099, 서울시 위기임산부 통합지원사업단’을 알게 됐다. 무엇보다 비밀 상담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용기를 냈다. A씨는 상담을 통해 아이와의 미래를 준비할 수 있었다. 그는 “다양한 정보를 알게 되니 출산·양육에 대한 불안감도 많이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전국 지자체 처음… 출산·양육 포기 임산부 조기 발견해 지원
서울시가 뜻하지 않은 임신, 경제적 부담, 사회적 편견 등으로 출산과 양육을 포기하려는 ‘위기임산부’의 든든한 보호 울타리 역할을 하고 있다. 시는 지난 9월부터 위기임산부 통합지원을 전국 최초로 시작했다. 태어났지만 출생신고가 되지 않은 출생미신고 영아를 방지하기 위해 위기임산부를 조기에 발견하고 필요한 도움을 제공한다는 취지다.
그동안 위기임산부는 임신·출산 사실이 밝혀질까 두려워 정책 이용을 꺼려 발굴 및 지원이 어려웠다. 또 지원받고자 해도 정보 접근이 어려워 포기하거나, 소득 기준 등의 자격 제한으로 정책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시는 도움이 필요한 위기임산부라면 누구나 전화나 카카오톡(카카오톡 채널 서울시 위기임산부 상담지원)를 통해 24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모든 상담내용은 철저하게 비밀 보장이 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소득·혼인 여부도 상관없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시는 상담을 제공하는 데만 그치는 게 아니라 출산·양육 과정에 필요한 지원을 연계해준다. 출산 후 직접 양육하길 희망하는 경우 ‘출산지원시설’이나 ‘서울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로 연계해준다. 시설 입소가 어렵거나 자격 제한으로 시설입소가 불가능한 경우 ‘위기임산부의 집’으로, 직접 양육이 곤란해 입양 및 시설보호를 희망하는 경우 ‘아동복지센터’를 연결해 준다. ●전화·SNS 통해 수시 상담… 소득·혼인 여부 관계없어
남자친구와 헤어진 뒤 임신 사실을 알게 된 B씨는 “시 통합지원을 통해 상담하면서 미혼모 시설에 입소했고 출산, 산후조리, 양육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며 “처음에 아이 양육을 반대했던 부모와의 관계도 회복돼 지금은 부모 집에서 거주한다”고 전했다.
시는 기관 연계 후에도 산모와 아동의 안전을 확인하는 사후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1대1 모니터링을 해 위기임산부 한 사람, 한 사람의 안전을 책임진다는 각오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통합지원 추진 과정에서 위기임산부에게 필요한 대책을 계속 보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장진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