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두미도 ‘섬택근무지’ 이름나
절경 즐기며 아이디어 창출·힐링
영월 고씨굴 방치된 호스텔 활용
울산 첫 센터… 온양온천에도 조성
일(Work)과 휴가(Vacation)를 합친 워케이션이 각광받으면서 관련 공간·시설이 전국에 속속 들어서고 있다. 각 지자체는 워케이션 활성화로 관광객 유치, 생활인구 확대 등을 바라본다.
경남도는 통영시 두미도가 ‘섬택근무지’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섬택근무는 섬에 대한 편견을 없애자는 취지로 2021년 5월 경남도가 첫선을 보인 사업이다. 그해 도는 두미도 북구마을 옛 청년회관을 ‘두미 스마트워크센터’로 새로 단장하고 경로당 2층을 숙소로 바꿨다. 지난해에는 두미도 남구마을에 있던 2층 규모 옛 마린리조트 건물을 단장해 객실(6개), 공유 사무·주방을 추가로 확보했다.
현재 섬택근무에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경남도청 직원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원격 근무 시스템을 활용, 팀 또는 사업단위로 격주마다 섬에 들러 일한다. 도는 “수려한 한려해상의 바다 경치를 보며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힐링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는 점이 두미도 섬택근무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강원에서는 천연기념물인 영월 고씨굴 관광지에 장기간 방치됐던 호스텔 건물이 지난달 워케이션 센터로 부활했다. 센터는 회의실 3개와 영·유아 키즈카페, 25개의 객실, 하늘 정원 카페 등을 갖췄다. 군은 워케이션센터를 앞세워 생활인구 유입과 체류형 관광 활성화를 도모해 갈 계획이다.
울산에서는 지역 첫 워케이션센터인 ‘온앤오프 동구 워케이션 센터’가 지난 6월 문을 열었다. 일산해수욕장과 대왕암공원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상가 건물 5층에 마련됐다. 개인 업무공간, 다인 회의 공간, 40명 규모 메인홀, 휴게시설 등을 갖췄다. 충남 아산시는 온양온천역 유휴공간에서 워케이션 조성 사업을 벌이고 있다. 행정안전부 주관 ‘고향올래 공모사업’ 선정 결과로 내년 7월 준공할 방침이다.
워케이션 활성화를 바라보는 지자체의 기대감이 커가면서 촘촘한 발전 전략도 요구된다. 경남연구원은 ‘2024년 경남 관광 트렌드’에서 “일본 지자체들은 기업체와 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역주민·노동자 간 교류프로그램을 추진해 관계인구를 창출하거나 빈집 전대 사업을 워케이션 거점으로 활용하기도 한다”며 “워케이션 인프라를 갖춘 지역은 통합 브랜드 구축이나 홍보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통영 이창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