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서 부산까지 새 철로 건설 사업
지반침하 여파로 10년 넘게 준공 못 해
“이미 준공한 구간이라도 부분 개통해야”
‘정부 비수도권 교통망 구축 소극적’ 지적도
5일 경남도에 따르면 부전~마산 복선전철(총연장 51.1㎞)은 창원~김해~부산에 새 철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사업비 1조 5766억원을 들여 김해 진례면~부산 부전동 32.7㎞를 연결하는 게 핵심으로, 2014년 착공했다. 창원~김해~부산을 연결하는 기존 경전선(87㎞)보다 거리가 짧아 운행 시간은 55분(1시간 30분→38분) 줄어든다.
복선전철은 애초 2020년 6월 준공될 예정이었다. 다만 2020년 낙동1터널 피난통로 공사 중 지반침하 사고가 났고 그 여파로 공정률은 98%에 멈춰 있다. 현재 국토부와 사업시행자가 피난통로 위치 조정 등을 놓고 입장 차를 보여 준공·전면 개통 시기는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경남도는 올해 연말까지 복선전철 전면 개통을 목표로 삼고 있지만 여의찮다면 피난통로 확보 등 공사가 마무리된 마산역~강서금호역 구간이라도 부분 개통해야 한다고 본다. 이미 조성된 철도 역사 등이 장기 방치돼 노후화하는 현실을 고려하고 주민 교통 복지를 향상을 위해서라도 개통을 더는 늦춰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부분 개통을 놓고 국토부와 협의를 잇고 있다”며 “부분 개통에 따른 운영손실 보전 비용·선로 보강 비용 분담 등에서 합의가 필요하다. 6개월가량 걸리는 시범 운행 기간도 단축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최근 확대간부회의에서 “정부와 철도시설공단 등이 10년 넘게 기다려온 사업을 마무리하지 못하는 것은 도민을 기만하는 행위”라며 “문제가 있는 구간이 있다면 우선 개통할 수 있는 구간이라도 신속히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수도권 GTX에는 대규모 국비를 투입하면서도 지방 핵심 교통망 확충에는 소극적인 것은 지방 역차별”이라고 지적했다.
창원 이창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