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정담회에는 경기도수자원본부 상하수과 관계자가 참석하여 도내 물 산업 기업 및 31개 시·군별 DB 구축 필요성, 물 산업 육성 방안, 해외 진출을 위한 지원체계 마련 등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물산업’은 「물산업진흥법」에 따라 용수를 생산 공급하고, 발생한 하수와 폐수를 이송 처리하는 사업으로 상하수도, 폐수, 생수, 정수 등을 모두 포함한다. 경기도에는 전국 물 산업 기업(1만 7,500개)의 25%에 해당하는 4천여 개가 있으며, 물산업 종사자는 5만여 명에 달한다.
그러나 현재 경기도 물산업지원센터는 348개 기업 데이터만을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경기도는 2026년까지 2,000개 이상의 물기업 데이터를 추가 확보하고, 시·군별 세부 현황을 반영한 DB 콘텐츠 개편과 관련하여 예산을 반영할 예정이다.
김태희 의원은 “도 물 산업이 성장하고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31개 시·군 물 기업의 구체적인 DB 구축을 통해 물 기업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며, “한국수자원공사(K-water)와 한국상하수도협회 등 관련 단체·협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기술 및 시장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 2월 베트남 속짱성 자연환경국과의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도내 물 기업의 우수 기술을 현지에서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물기술 실증화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