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기반 보도자료 등 작성
직원 누구나 상황에 맞게 활용
광주시가 인공지능(AI) 직원 1호 ‘AI 당지기’에 이어 2호로 ‘AI 대변인’을 채용했다.
광주시는 직원 누구나 손쉽게 보도자료를 작성할 수 있도록 AI 대변인을 도입했다고 8일 밝혔다.
AI 대변인은 챗GPT를 기반으로 광주시 보도자료 서식, 작성 기준, 표현 가이드를 반영해 핵심 정보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초안을 생성하는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다. 데이터정보화담당관 담당부서 공무원이 별도의 예산 투입 없이 챗GPT 기반 기술을 활용, 올해 개발했다. 특히 유형별 보도자료 서식을 갖춰 다양한 보도자료 작성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으며, 맞춤법 자동 수정 기능도 제공해 보도자료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시는 AI 대변인 서비스를 통해 직원들이 보도자료 작성 역량 강화는 물론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AI 대변인은 기존 인공지능 기술이 단순 상담이나 민원 안내에 국한되던 것과 달리 보도자료 작성 업무에 인공지능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병철 광주시 기획조정실장은 “AI직원 2호 AI 대변인을 통해 보도자료 작성의 품질과 속도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AI 기술을 행정에 도입해 시민 중심의, 시민을 위한 행정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지난해 8월 특·광역시 최초로 AI 당지기를 도입, 당직민원의 84%를 인공지능으로 처리하는 등 행정 혁신에 앞장서고 있다. 광주시는 직원 당직제를 폐지하고, 24시간 상시 운영하는 재난안전상황실에 당직 전담인력을 추가 배치해 통합 운영하는 등 효율성을 높였다.
광주 홍행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