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별·밤하늘도 관광자원”… 지자체들 지역 특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경기도 유일 세컨드홈 특례 적용… 연천은 인구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나주 영산강 정원, 국가정원화 속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자율주행버스 우회전 안정적… “승차감 테슬라 능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설명)환경부는 물관리 일원화의 조기 성과 창출 및 홍수관리체계의 효율화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음[서울경제신문 등 2020.8.14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 환경부는 물관리 일원화 이후 통합물관리 체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힘써 왔으며, 댐·하천관리 등 홍수관리 체계의 효율화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입니다.



○ 2020.8.14일 서울경제신문 <물관리 일원화 '구명'…물난리, 官災였다. ① 환경부, 水質 치중·水量 관리 소홀…부처 물관리 '밥그릇 싸움'> 보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드립니다.


1. 기사 내용


① 2018년 물관리 기능의 상당 부분을 국토부에서 환경부로 옮겼으나, 기능 통폐합보다는 조직 통폐합에 방점이 찍히면서 '맹탕 일원화' '반쪽자리 일원화'라는 비판이 나왔지만 그랜드플랜은 마련되지 않음


② 다목적댐과 용수전용댐은 환경부와 수자원공사, 전력댐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수원, 하천관리는 국토교통부, 전국저수지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어촌공사·지자체가 담당하고 있어 '따로 국밥' 정책의 전형적인 사례


③ 물을 관리하는 치수(治水)예산은 쥐꼬리 수준이거나 되레 쪼그라들고 있다. 2010년 1,435억원이었던 치수능력증대 사업 예산은 올해 327억원까지 줄었음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환경부 설명내용


①에 대하여 : 


○ 정부는 2018년 물관리 일원화 이후 물관리기본법을 제정(2018.9월)하고 국가·유역물관리위원회의 출범(2019.8~9월) 하였으며, 물관련 최상위 계획인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을 조속히 수립(물관리기본법상 2021.6월까지)하여 체계적인 물관리를 해나갈 계획임


*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은 수질-수량-수재해 등 모든 분야를 통합하고, 환경부·국토부·농림부·산업부·행안부·해수부·기상청·산림청 등 물과 관련된 모든 부처의 업무 범위를 아우르는 계획으로 수립 예정


②에 대하여 : 


○ 부처별·기관별로 댐·하천·저수지 관리체계가 다원화되어 있는 상황에서도 관계부처 연계 대응체계 구축 등을 통해 물 문제에 통합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며,


* 유역별 댐·보 연계운영 협의회 구성·운영(2012.1월∼), 한강수계 발전댐-다목적댐 통합운영을 위한 협약 체결(2020.4월) 등


○ 20대 국회에서 물관리 일원화 대상에서 빠졌던 하천관리 부문도 정부조직법 등 관련 법률을 개정하여 조속히 일원화해 나갈 계획임


③에 대하여 : 


○ 댐·하천 등 치수 관리를 위한 정부 예산은 환경부, 국토부, 행안부, 산업부, 농식품부 등에 걸쳐 있으며, 


- 그 중 환경부의 수자원 관련 예산은 2018년 물관리 일원화 이후  확대* 추세이며,


* 환경부 수자원 예산(억원) : (2018) 6,468 (2019) 7,488 (2020) 7,862


- 2020년부터는 각 부처의 물 관련 예산 중 약 2019년 예산 기준으로 1.3조 원*에 해당하는 예산을 지방자치단체에 이양하여 관리 중


* 지방하천정비(국토) 5,697억원, 소하천정비(행안) 258억원, 생태하천복원(환경) 919억원, 농업기반정비(농식품) 1,788억원, 상수도시설확충(환경) 3,525억원 등


○ 치수능력증대 사업은 이상 홍수시 댐의 월류 또는 붕괴 방지 등을 위해 기존 댐에 보조여수로 또는 추가 수문을 확충하는 사업으로  


- '댐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및 치수능력증대 기본 구상 수립'(2004.9월, 국토부)'에 따라 순차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에 근거하여 국내 24개 댐을 대상으로 2003~2025년까지 총사업비 2조981억원을 투입하는 사업


- 2017년까지 대규모 사업이 완료되어 사업비가 감소하는 추세*임


* 치수능력증대사업 예산(억원) : (2010년) 1,435 (2014년) 1,367 (2015년) 1,223 (2016년) 714 (2017년) 549 (2018년) 377 (2019) 201 (2020) 328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