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에 담긴 미래세대의 통일인식
미래세대는 '통일이 가져올 이익'에 가장 관심가져
- 통일·북한 관련 내용은 '유튜브'와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얻어
- 학생들의 '현장견학 등 체험학습' 및 '질문·게임·행사' 등
선호를 반영한 참여 및 체험 중심의 통일교육 확대 추진
□ 통일부와 교육부는 학생 및 교사의 통일 인식, 남북관계 인식, 통일교육 현황 등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 시도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2024년 10월 21일부터 11월 15일까지 「2024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는 「통일교육 지원법」 제8조 제④항에 근거, 2014년부터 시행
** 「통일교육 지원법」 제8조(학교의 통일교육 진흥) ④ 통일부장관은 교육부장관과 협의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초·중등학교의 통일교육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 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긍정적 인식보다 28.9%p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북한의 도발과 남북관계
단절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학생들의 통일·북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o 학생들의 '통일 필요' 인식은 전년도 조사결과에 비해 2.2%p 감소했다. 학생들은 '남북 간 전쟁 위협을
없애기 위해'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지만, 통일 이후 발생할 사회적 문제와 통일의 경제적 부담 등 통일이 가져올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답했다.
* 통일 필요 : △'22년 57.6% → △'23년 49.8% →
△'24년 47.6%
통일 불필요 : △'22년 31.7% → △'23년 38.9% → △'24년
42.3%
** 필요 이유 : △전쟁위협 해소 38.4% △같은 민족 14.4% △선진국 진입
14.1%
불필요 이유 : △사회적 문제 발생 29.4% △경제적 부담 22.2% △정치제도 차이 18.7%
o 학생들은 북한을 '협력·도움 대상'보다 '경계·적대 대상'으로 보고 있으며, 북한 사회가 '변하고 있다'는 인식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북한 인식 : △협력·도움 대상 34.3% △경계·적대 대상
63.2%
** 북한사회 변화(변하고 있음) : △'22년 36.4% → △'23년 31.5% →
△'24년 37.4%
□ 학생 대상 조사 결과, 78.9%의 학생들이 학교 통일교육을 경험하였으며, 앞으로 '통일이 가져올 이익'에 대해 가장 배우고 싶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o 학생들은 학교 통일교육을 '동영상 시청'을 통해 가장 많이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현장 견학 등 체험학습'을 가장
희망(59.4%)하는 반면 실제 통일교육 관련 체험학습 경험은 저조(6.2%)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 실시 : △동영상 시청 61.5% △강의(설명식 교육) 45.9% △현장견학 등 체험학습 6.2%
** 교육 희망 : △현장 견학 등 체험학습 59.4% △동영상 시청 57.1% △질문·게임·행사 54.9%
o 학생들은 통일·북한 관련 정보를 주로 '유튜브'와 '인터넷(포털, 블로그 등)'을 통해서 얻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년도 결과와 비교해서 텔레비전, 라디오 등 방송의 비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정보 출처 :
△유튜브 60.2% △교과서, 학교 수업 44.6% △인터넷(포털, 블로그 등) 42.2%
□ 교사 대상 조사 결과, 교사들 대부분이 통일 필요성을 느끼고 85.6%의 교사들이 학교 통일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o 교사들은 '강의(설명식 교육)'를 통해 통일교육을 가장 많이 실시하며, '질문,
통일관련 게임, 행사 방식'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 실시 :
△강의(설명식 교육) 74.1% △동영상 시청 65.3% △질문·게임·행사 36.7%
** 효과적 교육 : △질문·게임·행사 50.9% △동영상 시청 49.8% △외부전문가 특강 46.2%
o 교사들도 학생들처럼 통일·북한 관련 정보를 주로 '인터넷(포털, 블로그 등)'과 '유튜브'를 통해서 얻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 공감대, 분위기 조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정보 출처 : △인터넷(포털, 블로그 등) 65.5% △유튜브 57.4% △계기교육 자료 등
50.3%
** 통일교육 활성화 중점 : △사회적 공감대, 분위기 조성 81.7% △교수학습 자료 개발
75.9% △관련 법, 제도 정비 70.4%
□ 통일부와 교육부는 빠르게 변화하는 통일교육 환경에 맞추어 통일교육이 나아갈 목표와 방향성을 가지고 참여 및 체험 중심의
통일교육 확대를 통해 미래세대가 통일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을 정립하고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학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o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은 올해 주요 역점 사업으로 미래세대의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인공지능 통일교육을 도입하고 통일미래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증강현실·가상현실 등 실감형 통일교육을 실시하는 등 첨단
현장형 통일교육을 통해 미래세대 통일인식과 통일교육의 효과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붙임 : 「2024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