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심기 시기와 양액 농도, 냉방 기술 등 종합적으로 담은 지침서 보급
- 8~10월 내수, 수출용 파프리카 생산에 도움 기대
농촌진흥청은 고온기 품질 좋은 파프리카 안정 생산을 위해 관련 기술을 한데 묶은 재배 지침서(매뉴얼)를 보급한다.
파프리카는 여름철 고랭지를 중심으로 재배하지만, 8~10월 생산량 부족과 생산지 다변화 요구로 평지에서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 적용이 중요하다.
이번 지침서는 2021년~2024년까지 연구한 최적의 아주심기 시기와 뿌리 냉방, 양액 농도, 햇빛양에 따른 급액량, 이산화탄소(CO2) 공급 기술 등을 담고 있다.
연구 결과, 펄라이트* 배지를 사용해 6월 아주심기하고, 안개 분무와 히트펌프 냉방을 하면 여름철 낮 기온을 33도(℃) 이하로 바깥보다 2∼5도(℃) 낮게, 밤 기온은 18도(℃)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 진주암을 1,000℃ 이상 가열하여 팽창시켜 만든 무독성 배지로, 통기성과 배수성이 뛰어나고 뿌리 발달을 최적화해 수경재배에 많이 이용됨
또한, 냉수관을 설치해 뿌리 냉방을 하면 '상' 등급 수확량을 아무 처리하지 않은 실험 구보다 16.1% 높일 수 있다.
양액 농도는 아주심기 직후와 뿌리내릴 때, 열매가 달릴 때는 전기전도도(EC) 2.5(dS/m)로 공급하는 것이 좋다. 잎이 자라는 영양생장기와 열매가 커질 무렵에는 2.5에서 2.0으로 단계적으로 낮춰 공급한다.
아울러, 누적 햇빛양(적산일사량)에 맞춰 배양액이 자동 공급되도록 기준 적산일사량을 생육 단계별로 50~150줄(J/cm2) 범위에서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파프리카 생육은 물론, 열매도 단단하고, 상품 수량(kg/10a)도 높일 수 있다.
* 뿌리내림 시기(6월) 150줄(J/㎠) → 첫 열매 그룹(6∼7월) 100줄 → 생장기와 고온기(8월) 80∼50줄 → 저온기(11월) 90∼100줄 → 3월 이후 90줄(J/㎠) 설정
이 외에도 지침서에서는 고온기 안개분무시스템 설치 기준과 냉난방기(FCU)* 용량, 송풍구(덕트**) 규격, 이산화탄소(CO2) 공급 기술 등 환경 관리 요령을 볼 수 있다.
* 냉방용 또는 난방용 바람을 내보내어 시설 하우스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설비
** FCU(fan coil unit)에서 생성된 냉풍 또는 온풍을 작물 재배 공간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바람 통로
지침서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에서 찾아볼 수 있다.
* (고온 극복을 위한) 대형단동하우스 활용 안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