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몰·교통망 품고 꿀잼도시로… ‘3000만 광주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행정기관 민원 전화 통째 녹음… 폭언 땐 공무원이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명장들 물레질·손놀림에 탄성… 도자기 빚는 체험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오세훈 시장, 5일부터 아랍에미리트 출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Weekend inside] 기름값 폭등·운행 횟수 반토막…위기의 농어촌버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시골 노인의 발’ 숨이 꼴깍꼴깍

“빈 차로 갈 때는 내가 참 미안허구먼유. 그렇다고 안 탈 수도 읎구.”

지난달 30일 오전 11시 20분쯤 충남 청양군 대치면 오룡리 버스정류장 앞. 빗속을 뚫고 온 버스에서 막 내린 이 마을 주민 최영례(80) 할머니는 “몸이 아파 읍내 병원에 다녀오는 길”이라면서 “늙은이 걸음으로 2시간이나 걸리는 읍내를 어떻게 걸어가느냐.”고 손사래를 쳤다. 그는 최근 버스운행이 중단됐을 때 1만원씩이나 주고 택시를 타고 읍내 병원에 갔던 터였다.


충남 청양군 대치면 오룡리 주민들이 지난달 30일 정류장에서 하루 네차례 들어오는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노인들은 버스가 비어 갈 때는 오히려 미안하다고 했다.



시골 노인들의 발, 농어촌버스가 병들고 있다. 승객이 너무 많아 궤짝처럼 밀어넣고, 그 바람에 등교하던 학생의 도시락에서 흐른 김칫국 냄새가 후덥지근한 버스 안을 가득 채웠던 일은 흐릿한 옛 추억일 뿐이다. 지금은 쪼그라든 인구에 기름값까지 폭등해 농어촌버스 운행업체들이 비명을 지른다. 견디다 못한 업체들이 잇따라 운행중단에 나서 농어촌 주민, 특히 노인들의 입에서는 볼멘소리와 한숨이 터져나오고 있다.

칠갑산 자락에 있는 오룡리는 하루 네 차례 버스가 들어와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다. 한 차례만 들어오는 마을도 부지기수로 많다. 43가구에 96명이 살고 있는 이 마을 주민은 환갑 넘은 노인이 대부분이다. 마을 주민들은 고추 등 농산물을 팔러 1주일에 서너 차례 읍내에 나간다. 심현태(81) 할머니는 “다리가 아파 버스 없으면 꼼짝 못해.”라면서 “(버스를) 늘려 달라고 하기는커녕 빼지나 말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정순(71) 할머니는 얼마 전에 기분 상하는 일을 겪었다. 읍내에서 막차를 타고 마을에서 내리는데 운전기사가 “할머니가 아니었으면 오지 않았을 텐데. 앞으로는 막차 타지 마시라.”고 냅다 짜증을 냈다. 김 할머니는 “내가 잘못혔으니 어쩔거여. (버스가)들어오는 것만두 감지덕지헌디.”라고 씁쓸하게 웃었다.

읍내에 있는 청양교통 버스터미널은 마치 1970년대로 되돌아간 풍경이었다. 건물은 매우 낡았고, 어두운 대합실에는 연탄난로가 피워져 있었다. 대합실에 몇 명이 앉아 버스를 기다리며 “어휴, 지루해.”를 연발했다. 매년 적자이다 보니 업체로서도 대합실을 고치는 것은 엄두가 나지 않는 듯했다.

청양교통은 올해 기름값만 7억 8916만원이 들어갔다. 지난해 6억 1110만원에서 크게 불어났다. ℓ당 기름값이 지난해 1501원에서 올해 1726원으로 올랐다. 지난달 5일에는 주유소에서 밀린 기름값을 지급하라며 주유를 거부해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매년 정부가 유가보조금 1억 8000만원, 군이 9억여원을 지원하지만 언제 버스가 멈춰 설지 위태위태하다. ㎞당 8.7명이 타야 그럭저럭 수지가 맞을 텐데 이곳 벽지노선은 대당 승객이라야 평균 0.6명이다.

다른 곳이라고 청양과 다를 게 없다. 경북 고령군은 지난 1월, 충남 서천군은 지난 5월과 9월 잇따라 농어촌버스 운행 중단 사태가 빚어졌다. 전북 부안군은 2개 업체 중 한 곳이 지난 9월 말 “더는 적자를 감당할 수 없다.”며 국내 처음으로 사업권을 자진반납하고 폐업했다. 이후 운행 횟수는 반토막났다. 반면 전남 신안군은 2008년 전국 최초로 ‘농어촌버스 공영제’를 도입했다. 13개 섬을 운행하던 버스 25대를 업체로부터 사들여 직접 운영하고 있다. 임재문 신안군 교통행정계 주무관은 “연간 운영비가 17억~18억원으로 늘어났지만 구석구석 버스가 들어가 주민들이 좋아한다.”며 “사실 버스공영제는 도시보다 농어촌이 더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전국 농어촌버스 업체는 지난 7월 현재 89개로 3769개 노선에 버스 1887대를 투입하고 있다. 전 노선 적자 규모가 모두 1331억원에 이른다. 정부와 지자체 지원으로 근근이 버티고 있는 실정이다. 농어촌에는 버스 말고는 마땅한 대중교통수단도 없다.

명헌상 청양군 교통행정계장은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는 공영제 도입이 어렵다. 노선과 운행 횟수, 인력을 줄이고 16인승 미니버스로 바꿔 운영비를 줄일 계획”이라면서 “농어촌버스는 단순 대중교통에서 복지 개념으로 바뀌고 있는 만큼 면허권자가 시장·군수라고 시·군만의 일로 봐서는 안 된다.”고 의미있는 한마디를 던졌다.

글·사진 청양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1-12-03 1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