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거리 쓰레기통, 30년 만에 돌아오나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성인문해교육 활동가 양성하는 동대문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성동, 찾아가는 자전거 수리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강서 ‘발산역 지하보도’ 환한 새 옷 입었다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강원 동해 해변 소나무 파도와 매일 맞짱 왜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해안 침식 해마다 심화 3년 연속 ‘심각’ 12곳

강원 삼척 궁촌리~원평리를 잇는 2㎞ 해변은 침식으로 백사장이 사라졌다. 침식은 2년 전 주변에 항구가 생기면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해변이 매년 2m씩 파도에 휩쓸려 가는 바람에 바닷가 소나무가 뿌리째 뽑혀 나가고 있다. 2m 안팎의 높이로 절벽처럼 깎여 나간 소나무 군락지가 아슬아슬하게 버티고 있다. 소나무들은 속살을 드러낸 채 파도를 온 몸으로 맞고 있다.

이 같은 강원 동해 연안의 해변 침식이 갈수록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 환동해본부는 13일 강원 동해안 해변 240.74㎞ 구간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2년도 연안침식 모니터링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강원대 산학협력단 등이 3년 동안 동해안 41개 주요 해변을 모니터링했다.

조사 결과 침식 작용이 심각하게 일어나는 곳(D등급)이 2010년 15곳에서 2011년 18곳, 지난해 22곳 등으로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특히 3년 연속 D등급을 받은 해변은 고성 송포리와 공현진, 봉포를 비롯해 속초 장사동, 영랑동, 청호, 강릉 소돌, 영진, 안목, 남항진, 염전, 삼척 하맹방 등 12곳에 이르고 2년 연속 D등급을 받은 지역은 고성 초도, 반암, 교암, 삼척 원평, 월천 등 5곳으로 조사됐다.

침식작용 심화는 해변에 들어서는 항구 등 각종 인공 구조물과 기상이변으로 인한 너울성 파도가 느는 게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삼척 궁촌리 침식도 인근에 인공 구조물인 항구가 생겨 조류의 흐름을 방해하면서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강릉 사근진, 고성 가진 등 일부 지역에서는 침식방지사업이 진행되면서 D등급에서 우려지역(C등급)으로 회복세를 보이는 곳도 있었다. 복구작업을 해 상당히 좋아진(B등급) 지역도 고성 천진, 양양 남애1리, 강릉 강문, 동해 한섬, 추암 등 5곳으로 조사됐다.

김영복 도 환동해본부 해양항만과 연안관리 담당은 “해마다 심해지는 침식작용을 막기 위해 수십억원씩의 국·도비 등이 투입된다”면서 “용역자료를 바탕으로 침식방지 사업의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침식 심화지역에 대한 지원 확대를 정부에 건의해 항구 복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릉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3-05-14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