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 된 회현2시민아파트… ‘남산 랜드마크’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꼭 설치… 울주 관광·경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일해공원’ 명칭 변경이냐, 존치냐… 공론화 속도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클럽에 ‘물뽕’ 자가검사 스티커… 서울시, 유흥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외면받는 경북 대표음식 개발사업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경북도와 시·군의 대표 음식 육성 사업이 이벤트성에 그쳐 실효를 거두지 못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4일 도 등에 따르면 2011년부터 지역 대표 음식을 발굴해 표준조리법을 개발하고 이를 음식점 등에 보급하고 있다. 대표 음식을 관광자원화하고 지역경제에도 도움을 주기 위해서다. 이에 드는 비용은 각 1억원 정도로 도와 시·군이 분담한다.

지금까지 개발된 지역의 대표음식은 ▲포항 물회·과메기 ▲안동 한우요리 ▲영주 삼계탕 ▲의성 산수유·마늘매운탕, 마늘찜닭 ▲청도 추어탕 ▲고령 대가야진찬 ▲성주 고방찬 ▲봉화 송이요리 ▲울진 대게요리 ▲경주 최가밥상 ▲경산 대추음식 등이다.

영주 인삼, 봉화 송이 등 대부분 시·군들이 지역의 특산물을 활용한 점이 특징이다. 청도 추어탕처럼 특산물이 아니더라도 해당 지역에서 오랫동안 인기를 끈 음식도 있다. 특히 경산의 경우 대추를 활용한 한정식과 떡갈비, 갈비탕, 찜 갈비, 삼계탕, 칼국수, 인절미, 두텁떡, 돼지갈비구이, 동태찜 등 음식 종류가 10가지에 이른다.

하지만 이들 시·군 대표 음식이 정작 지역 음식점과 주민·관광객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포항, 영주지역의 경우 대표 음식을 표준 조리법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음식점이 단 한 곳도 없으며 경주, 고령, 성주지역 등은 대표 음식 지정식당이 1~3곳에 그치고 있다. 이마저도 찾는 사람이 거의 없어 겨우 명맥만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대표 음식 육성 사업이 지지부진한 것은 도와 시·군이 특화 및 대중화시킬 수 있는 그야말로 대표 음식 개발이 아니라 ‘또 하나의 음식’ 개발에 그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 시·군들이 대표 음식을 일반 음식점과 가정을 대상으로 홍보 또는 보급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고 있다는 것.

주민들은 “시·군별 대표 음식 육성 사업이 ‘전시성 생색내기’에 불과해 예산만 낭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 관계자는 “시·군별 대표 음식 육성 실태를 점검해 미진한 부분은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3-12-25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