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밀 자급률 ‘0.8→10%’ 목표
‘5만4454t’ 1984년 이후 최대 생산
비축·소비보다 1만여t ‘과잉생산’
쌀 생산 감축 위해 ‘가루쌀’ 장려
국산밀 소비 위축 역효과 우려도
국산밀 수요가 제한적이고 가루쌀과 밀가루 수요가 겹치는데 정부의 비축 계획은 생산 증가분을 흡수할 수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26일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올해 전국 밀 재배면적은 1만 1918㏊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해 8259㏊보다 3659㏊(44%) 증가한 것이다. 국내 밀 재배면적은 2020년 5224㏊, 2021년 6244㏊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올해 1만㏊를 넘어섰다.
정부는 2020년 ‘제1차 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2021∼2025년)’을 통해 0.8% 수준인 밀의 자급률을 2025년 5%(3만㏊ 재배·12만t 생산)까지 높이고, 2027년 7.5%, 2030년 10%까지 높인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밀 재배면적과 수요 증가는 비례하지 않아 과잉 생산이 우려돼 정부의 수매량 확대와 소비 촉진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더구나 정부가 쌀 생산량을 줄이기 위해 가루쌀 생산을 장려하고 있어 자칫 국산밀 소비를 위축시키는 효과가 발생할 우려도 적지 않다는 게 농가의 지적이다. 국산밀 소비처가 대부분 제과·제빵업계인데 가루쌀 판매처와 상당 부분 겹치기 때문이다. 국내 가루쌀 재배면적은 올해 2000㏊로 크게 늘었다.
전북의 경우 밀 재배면적은 4894㏊로 지난해 2852㏊ 보다 2042㏊(71.6%) 늘었고 가루쌀 재배면적은 844㏊로 전국에서 가장 많아 과잉 생산이 가격 폭락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고심하는 상황이다.
밀 재배 농가들은 “2013년, 2014년, 2017년, 2018년에 국산밀 재고가 크게 늘어나 가격이 폭락하는 바람에 생산농가만 큰 고통을 겪었다”며 “국산밀과 가루쌀 생산만 장려할 것이 아니라 소비처도 마련해야 안정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다”며 정부의 철저한 대책을 주문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2023-04-28 1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