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대표주자’ 축제로 즐겨요”… 김밥, 새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한강 밤하늘 ‘드론 1000대’ 수놓는다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강남 화려한 ‘문화 인프라’ 한자리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남산케이블카 운영사, 서울시 곤돌라에 소송 제기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대공원 동물원에 가보았지]<47> 한밤의 유해조수 퇴치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눈물 흘리며 고양이 잡습니다”

‘서울대공원에서 사냥이 벌어진다(?)’웬 만화 같은 이야기일까 생각하겠지만 실제상황이다. 한달에 2∼3번씩 관람객이 모두 돌아간 텅빈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선 포수가 총을 들고 뛰어다니고 놀란 동물이 도망다니는 진풍경이 연출된다. 올해로 3년째인데 나름대로 말 못할 사정이 있다.

사냥꾼이 유해조수를 잡기 위해 조명등을 비추고 있다.


한밤 동물원에선 어떤 일이…

“차 돌려서 조명등 1시 방향으로 비춰!”지난 13일 오후 9시30분. 어두컴컴한 큰물새장 옆에서 동물의 안광이 빛나자 들고양이 사냥에 나선 4명의 대한수렵관리협회 직원들이 일제히 숨을 멈췄다.

‘탕’하는 외발의 총소리에 큰물새장 속 새끼 새들을 호시탐탐 노리던 들고양이 한 마리가 픽하고 쓰러진다. 놀란 다른 들고양이가 담장을 넘어 달아나자 마치 탈주범을 쫓듯 조명등이 따라간다.

이날 자정까지 이어진 유해동물 구제에서 잡힌 동물은 들고양이 6마리와 너구리 2마리, 까치 1마리가 전부. 서울대공원 동물원은 지난 2005년부터 과천시의 허가를 받아 유해조수를 사냥한다. 구제대상동물은 멧비둘기와 까치, 너구리, 고양이 등 4종류. 이중 고양이의 개체수가 가장 많다.

‘총’이란 강수를 들고 나온 것은 그만큼 상황이 절박해서다. 사람에게 버려져 산에서 번식을 거듭한 고양이들은 이미 먹이사슬의 정점에 올라 있다. 호랑이, 사자, 늑대, 삵 등 숲속 포식자들이 우리 속에서 옴짝달싹 못하는 동물원에선 고양이가 맹수노릇을 한다.

동물원에선 고양이가 왕 노릇

동물원 관계자는 “주로 먹잇감을 찾아 오지만 재미삼아 작은 동물들을 물어 죽이는 경우도 있다.”면서 “청둥오리부터 칠면조, 토끼 심지어 공작까지 남아나지 않을 정도”라고 말했다. 광묘병 등 전염병도 문제다.

지난 3년간 잡아들인 고양이의 수는 300마리정도. 많이 줄었다곤 하지만 계속 외부에서 유입되는 실정이다. 동물원측 역시 인위적인 개체조절이 탐탁지는 않지만 마땅한 대안이 없다고 하소연한다.

키우던 고양이를 버리는 것도, 동물원을 만든 것도, 또 동물 보호를 이유로 다른 동물을 희생시키는 것도 다 인간이다. 악연의 고리처럼 얽히고설킨 실타래를 풀어야 할 것도 인간이지만 모두가 행복해질 실마리는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07-11-22 0:0:0 1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