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성장 실천 환경문제 넘은 복지의 다른 이름”
윤여창(43) ‘지방의제21’ 사무국장은 28일 “녹색 실천은 먼 곳에 있는 게 아니고 시민 생활 가까운 곳에서 찾을 수 있다.”며 “녹색사업 강화가 지자체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떠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방의제21은 전국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전신이자 별칭이다. 윤 국장은 “지속가능발전을 꾀하는 일은 국가 차원에서 밑그림도 중요하지만, 실제 실천으로 옮기는 데에는 지방정부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녹색 성장은 비단 환경문제뿐 아니라 빈부격차 해소나 여성·청소년 등 사회 약자층을 위한 복지정책과도 맞물려 있다.”고 설명했다.
녹색 강화가 때로는 이념과도 연결된다. ‘녹색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돈도 무시할 수 없는데 가진 사람들에게 더 분담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주로 부유층에 많은 탄소배출 감축 비율을 조정하는 등 지속가능발전을 꾀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누가 얼마나, 어떻게 확보하느냐가 관건인 셈이다.
좋은 자연환경은 고루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빈부를 가리지 않고 평등해 경제적인 불균형을 줄일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환경 친화적 개발’이 과제이지만 특정 사업을 어떻게 보느냐엔 인식의 차이가 드러난다. 그래서 해답은 간단치 않다.
윤 국장은 “2000년대 들어 재개발을 포함한 도시계획 사업 등으로 사회 분위기가 급변하면서 지속가능발전은 한층 복잡다단한 문제로 부각됐다.”고 설명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0-07-2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