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검 특수부(김석우 부장검사)는 6일 수사 의뢰된 8개 납품업체를 상대로 납품 수량·과정 등을 조사하고 있다.
납품업체 대부분은 광주·전남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업체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품질검증 기관으로 인정하는 해외 12개 기관 중 1곳으로부터 품질 검증을 받은 것처럼 위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위조된 품질 검증서 60건을 통해 납품된 237개 품목 7천682개 제품 외에 같은 방법으로 공급된 부품이 더 있는지도 수사하고 있다.
이 가운데 5천233개는 실제로 설치됐으며 대부분(98.4%)은 영광 5·6호기에서 사용됐다.
영광 3·4호기와 울진 3호기에도 일부 사용됐으며 고리, 월성, 영광원전 1·2호기는 재고로만 보유했다.
검찰은 영광원전과 8개 납품업체를 집중적으로 수사하되 다른 원전에도 미검증 부품이 공급된 경위를 살펴볼 예정이다.
미검증 부품이 전체 공급 부품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과 검증 절차를 제대로 거치지 않아 부당이득을 챙겼는지도 파악 대상이다.
한수원이 2003년 이후 납품된 부품 전체로 확대해 납품 검사를 게을리했는지 감사하기로 함에 따라 수사 대상은 더 늘어날 수도 있다.
검찰은 특히 오랜 기간 품질 검증서가 위조된 점으로 미뤄 원전 측 관계자가 위조사실을 묵인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