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광수 정보화진흥원장 인터뷰
“학교폭력과 같은 사회문제도 빅데이터를 동원해 미리 예측하고 교육부에서 대책을 마련할 수 있게 할 계획입니다.”
|
장광수 신임 한국정보화진흥원장이 29일 서울 청계천로 정보화진흥원 접견실에서 이뤄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협업의 모범 사례가 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
지난 14일 한국정보화진흥원장으로 임명된 장광수(56) 원장은 공직 생활 30여년 동안 국가 정보화 관련 업무로 한길을 걸었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그동안 안전행정부를 주로 지원했는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결정에 따라 미래창조과학부와 안행부가 공동으로 정보화진흥원을 관리하게 됐다.
그는 창조경제를 이끄는 미래부 지원 계획에 대해 “2020년에는 500억개의 전 세계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초연결사회가 된다”면서 “정보통신의 인프라인 통신망을 지금보다 훨씬 빠른 기가 인터넷망으로 구축하고 있는데 그 위에 디지털 콘텐츠를 실어 수출하면 새로운 창조산업이 탄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리, 공원 폐쇄회로(CC)TV 등의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은 유선, 모바일에 이은 인터넷의 3단계 진화로 ‘정부3.0’에 비견되는 ‘인터넷3.0’이다. 창조경제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의 대표적인 사례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비닐하우스를 조절하는 ‘유팜’ 시스템이다. 농장, 휴대전화, 통신사가 연결된 유팜은 진흥원이 개최한 범정부 앱 경진대회의 수상작이기도 하다.
안행부의 전자정부 수출 지원 업무도 빼놓을 수 없다. 행안부 정보화전략실장으로 이집트, 터키, 중남미 등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했던 장 원장은 “한국형 전자정부에 대해서는 부통령부터 장관까지 와서 설명을 들을 정도로 관심이 많다. 우리나라 전자정부 시스템을 수출하면 한국형 행정도 수출된다”고 강조했다. 한류와 한국형 전자정부를 같이 수출하는 것이 창조경제의 뒷받침이 된다는 설명이다.
‘빅데이터 기반의 국가미래전략센터’는 미래부와 안행부가 공동으로 수행하는 국정과제다. 그는 빅데이터는 갑자기 성과가 나타나는 사업이 아니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독감을 예보하려면 병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관련 기관의 정보를 분석해야 하는데 현재는 상권 분석, 재난 예방 등에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행시 24회로 공직에 입문해 정보통신부에서 오랫동안 일했던 장 원장은 “정통부가 없어지면서 위축됐던 정보통신 생태계를 복원하겠다”면서 “미래부가 중심이 돼 각 부처가 합쳐지다 보니 옛날 정통부 시절에 비해서는 쉽지 않지만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의지를 보였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