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1·2차관 산하 교류 인사
최근 국민은행의 위기가 12년 전 국민-주택은행 합병이 유기적 결합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내부 갈등으로 작용한 게 한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공무원 조직도 예외가 아니란 분석이다.기획재정부도 마찬가지다. 결속력이 강해 ‘모피아’로 불리는 옛 재무부 출신과 기획력이 뛰어난 옛 경제기획원(EPB) 출신으로 크게 양분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아직도 인사를 할 때면 문화 분야, 체육 분야, 국정홍보 분야 등 세 가지 채널로 나뉜다. 분야마다 승진 연수도 차이가 나서 비교적 승진이 빨랐던 국정홍보 분야는 질시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안행부는 2일 해묵은 내무부-총무처 간 칸막이를 허물고자 총무처 업무인 1차관 소속 직원과 내무부 업무를 하는 2차관 소속 직원을 대폭 섞는 교류 인사를 한다. 같은 과에서 2년 이상 또는 같은 국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과장급 이하 직원이 인사 대상이다.
안행부는 내무부와 총무처가 통합했을 때 각각 업무 영역의 최고 요직이었던 인사국장(현 인사실장)과 자치지원국장(현 지방행정실장)을 맞바꿨다가 다음 해 다시 제자리로 돌려보내기도 했다.
간부급 인사교류를 중단했던 전직 장관은 “인사는 전문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해야지 맞바꾸기 인사만으로 화학적 결합이 이뤄지지는 않는다”고 말하기도 했다.
안행부 관계자는 “부처 내 칸막이는 업무의 전문성을 살려야 하는 문제와 아는 사람과 같이 일하고자 하는 정서적 측면이 결합해서 만들어진 것”이라면서 “이번 안행부의 교류인사는 공무원 개인이 다양한 경험을 쌓아 앞으로 갈 길을 넓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