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화도시 조성사업 착착… 군산 구도심 ‘활력’
전북 군산시가 추진하는 ‘근대문화도시 조성사업’이 구도심 재생에 긍정적 효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일 군산시에 따르면 갈수록 쇠락해가는 옛 군산항 주변을 근대역사지구로 지정받아 새로운 상징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09년부터 내년까지 총 654억원을 투입하는 이 사업은 일제 강점기 건축물들을 관광자원으로 재정비해 옛 도심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군산시는 구도심에 산재한 근대 건축물을 박물관, 미술관 등으로 정비해 역사교육의 장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군산 옛 도심은 1899년 6월 조계지(외국인 거주지역)로 설정된 뒤 일제가 쌀 수탈의 거점기지로 삼아 근대의 아픈 역사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조선은행 군산지점, 일본 제18은행, 군산세관, 일본식 사찰인 동국사 등 170여채의 근대문화유산이 밀집돼 있다.
시는 군산 내항을 중심으로 한 문화유산들을 보존해 근대역사경관지역 조성 사업을 진행 중이다. 대표적인 사업은 2011년 9월 개관한 군산근대역사박물관이다. 군산 옛 도심인 장미동에 들어선 역사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4층, 넓이 4248㎡ 규모로 지어졌다. 182억원이 투자됐다. 유물은 4000여점에 이른다. 이 중 단체와 시민, 학생이 기증한 유물도 2250여점이 넘는다. 개관 2년 만에 50여만명이 다녀갔다.
이 같은 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되면서 군산항은 올해 ‘대한민국 경관대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일제 수탈사의 흔적들을 헐어내지 않고 잘 보전하고 정비해 교육과 관광 가치가 높은 자료로 승화시킨 공로다. 근대건축물을 활용해 쇠퇴하는 옛 도심에 새 랜드마크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3-12-0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