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무역투자 관장… 성장 견인차
산업 진흥과 무역통상, 에너지 수급 정책을 담당하는 산업통상자원부는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기능과 규모가 대폭 확대된 부처다. 정부는 전 지식경제부의 기능에 외교부 산하에 있던 통상업무를 이관해 국내외 산업 정책을 산업부가 총괄하도록 했다. 이는 1998년 통상산업부에서 산업자원부로 명칭과 조직이 개편되면서 통상업무가 떨어져 나간 지 15년 만의 조직 개편이다. 산업부는 국내 산업 경기 악화로 국외 시장 진출이 산업계 생존 전략으로 부상하고, 정부가 자유무역협정(FTA) 다변화 및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에 관심을 보이면서 국가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산업부는 크게 국내 산업 정책과 무역투자 정책을 관장하는 1차관 산하와 통상과 에너지 정책을 담당하는 2차관 산하로 양분된다. 산업부 상편에서는 본부 1차관 산하 주요 실·국장과 대변인 등을 소개한다.1차관 산하에는 4개 실 가운데 3개 실의 실장이 대변인 출신이란 공통점을 갖고 있다. 권평오 무역투자실장과 정만기 산업기반실장, 박청원 기획조정실장이 주인공들이다. 특히 이들은 행시 27기 동기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장관의 입’을 했다는 점이 이채롭다. 무엇보다 언론과의 매끄러운 관계가 강점으로 평가된다. 구관이 많다는 것은 원동진(행시 32회) 현 대변인에게 적잖은 부담이란 평가도 있다.
권 실장은 타 부처 대변인이 멘토로 꼽을 정도로 후배들의 신망이 두텁다. 후배 공무원들은 권 실장의 장점으로 유연한 상황 판단과 뛰어난 분석 능력을 꼽는다. 또 전기위원회 사무국장, 경제자유구역기획단장, 지역경제정책관 등 폭넓은 실무 경험을 갖췄다.
정 실장은 실무경제 전문가로 정평이 나 있다. 한국형 헬기개발사업단과 무역정책관, 정보통신산업정책관 등 다양한 분야의 요직을 두루 거치며 산업은 물론 무역과 기술 분야에도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대변인과 기획조정실장 등을 역임하며 조직 전반에 대한 이해도와 조직 조정 능력도 쌓았다.
이관섭(행시 27회) 산업정책실장은 4명의 실장 중 유일하게 대변인 경험이 없다. 대신 산업경제정책관과 에너지산업정책관, 에너지자원실장 등을 역임하며 풍부한 실무 경험을 쌓았고, 이명박 정부 시절 대통령비서실장 보좌관과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수석전문위원 등을 거치며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원 대변인은 조직 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업무 유연성 등을 높이 평가받아 전임자인 권 실장과 행시 5기수 차이임에도 대변인에 올랐다. 무역정책과장과 부품소재총괄과장,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산업경쟁력국장 등을 역임했다.
1차관 산하 국장급 중 최고 선임자인 남기만(행시 29회) 무역정책관은 이번 정부 출범과 함께 산업부의 입인 대변인 후보군에 이름을 올렸으나 주력산업정책관에서 무역정책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남 정책관은 지경부 운영지원과장과 감사관 등을 거쳤다.
김창규(행시 31회) 투자정책관은 통상 기능을 다시 가져온 산업부에서도 국제협력통상 전문가로 손꼽힌다. 정부가 유럽연합(EU)과 FTA를 체결할 당시 다른 부처와 현안을 조율해 협상을 무난히 이끌었다.
조용만(행시 30회) 통상국내대책관은 외국과의 통상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기획재정부에서 발탁한 사례다. 조 대책관은 기재부에선 무역협정지원단을 이끌었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3-12-26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