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5년 3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6.8포인트) 대비 0.2% 상승한 127.1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품목군별로 곡물, 설탕 가격은 하락, 유지류와 육류 가격은 상승, 유제품의 가격은 전월 수준을 유지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4.10월) 126.9 → (11월) 127.7 → (12월) 127.4 → ('25.1월) 125.1 → (2월) 126.8 → (3월) 127.1
품목군 | '25.3월 지수 | 전월 대비 | 전년 동월 대비 | ||||
'25.2월 | 증감폭 | (증감률) | '24.3월 | 증감폭 | (증감률) | ||
곡물 | 109.7 | 112.6 | -2.9 | (-2.6%) | 110.9 | -1.2 | (-1.1%) |
유지류 | 161.8 | 156.0 | 5.8 | (3.7%) | 130.6 | 31.2 | (23.9%) |
육류 | 118.0 | 117.0 | 1 | (0.9%) | 114.9 | 3.1 | (2.7%) |
유제품 | 148.7 | 148.7 | 0 | (0.0%) | 124.0 | 24.7 | (19.9%) |
설탕 | 116.9 | 118.5 | -1.6 | (-1.4%) | 133.4 | -16.5 | (-12.4%) |
전체 | 127.1 | 126.8 | 0.3 | (0.2%) | 118.9 | 8.2 | (6.9%) |
국내 농축산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개월 연속 2.5% 수준 이하를 유지(3월 0.4%)하고 있으며, 정부는 배추, 무 등 주요 농산물과 코코아, 커피 등 식품 원자재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대형마트와 전통시장 등에서 농축산물 할인지원(최대 40%)을 지속하는 등 소비자물가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농산물 수급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될 경우, 선제적인 수급 안정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붙임 1. 2025년 3월 품목군별 가격지수 변동원인
2. 2024/25년도 FAO 세계 곡물수급 전망
3. 식량가격지수 그래프(연도별·품목별)
4. 식량가격지수(2016~2025년)
※ 본 자료는 보도 편의를 위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발표자료를 요약·정리한 내용이므로 상세 내용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누리집(www.fao.org/worldfoodsituation/foodpricesindex/en)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