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교육 대상 전체로 넓혀 유치원·고교엔 유기농쌀 공급
서울시 25개 자치구가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친환경 무상급식 사업을 해마다 꾸준히 확대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지난해까지 초등학교 전 학년 및 중학교 2학년까지 적용한 친환경 무상급식을 올해 중학교 3학년까지 확대 실시한다.구는 안전성 확보에도 세심하게 신경을 쓰고 있다. 성북구는 학부모, 학교, 생산자, 급식 전문가와 함께 2010년 유기농 쌀, 2011년 김치, 2012년 수산물 공동 구매를 전국 최초로 제도화했다. 또 공동 구매 참여 업체의 품질 및 서비스 향상을 위해 분기마다 학부모 모니터단과 함께 공급 업체 시설과 식재료 안전 점검을 하고 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방사능 누출에 대한 우려가 높았을 땐 방사능 측정기를 들고 수산물 공급 업체를 찾아갔다. 유기농 쌀에 대해서는 분기별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 잔류 농약 검사를 하고 있다.
김영배 성북구청장은 “한 끼를 해결한다는 단순한 차원을 넘어 아동, 청소년의 기본권이라는 생각으로 이를 보장하려고 숱하게 노력한 결과 구민 90% 이상이 친환경 무상급식에 대한 신뢰를 보였다”고 말했다. 또 “성북구가 한국 최초 유니세프 인증 아동친화도시라는 명예를 얻는 데 밑거름 역할을 했다”고 덧붙였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