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시설공단·주민 700명 송전선로 지중화 등에 합의
지난해 말 철도공단은 신경주~포항 복선 전철사업을 시행하면서 기차 운행을 위해 경북 경주 건천읍에 있는 한국전력 건천변전소에서 철도공단의 변전소까지 송전선로를 설치하기로 했다. 전체 선로 약 2.26㎞ 중 2㎞ 구간에는 고압 송전선을 땅에 묻고 나머지 260m는 지형을 감안해 송전탑을 세울 계획이었다. 송전탑 설치 예정 구간은 경부고속도로를 지나는 부분으로 지상 설치 때는 6억원의 공사 비용이 들지만 지중에 설치하면 그 두배가 넘는 14억원이 든다.
그러나 토지보상 과정에서 건천 송전선로 일부가 30m 높이의 철탑으로 설치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 조모씨 등 주민들이 이에 반대하며 지중화를 요구했다. 주민 718명은 “이곳은 신경주 역사와 가깝고 5개의 도로가 연결된 교통 요충지로 경주의 입구이자 관문”이라며 지난 1월 국민권익위원회에 민원을 제기했다.
문제 해결을 위해 권익위는 수차례 실무협의 및 현장 조사를 나갔다. 조사관이 현장을 직접 방문해 송전탑이 설치될 위치를 확인하고 주민들의 의견과 철도공단의 입장을 객관적으로 들었다. 현장을 둘러보던 중 송전탑 설치 예정 구간 인근에 앞서 한전이 송전선로 지중화 공사를 한 사례를 파악했다. 현장을 꼼꼼하게 확인했기 때문에 건진 성과다. 이를 바탕으로 권익위는 철도공단 측에 한전이 유사한 위치에 추가 비용을 부담해 지역민을 위한 지중화 공사를 했음을 강조했다.
몇 차례의 추가 협의 끝에 이날 오후 건천읍사무소에서 열린 현장조정회의에서 중재안에 대한 관계자들의 전원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주민들의 입장을 전적으로 들어준 셈이지만 철도공단으로선 주민 편에 있던 경주시로부터 공사용 진입로 개설과 도로점용 허가 등에 적극 협조받는 성과를 얻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4-03-0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