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행부 ‘규제개선 대책’ 발표
지난해 3월 새로 설립된 화장품용기 제조회사 미코는 같은 해 5월 경기 파주시청으로부터 공장 건축 허가를 받았다. 그런데 파주시 도시계획심의위원회의 미개최 등으로 건축 심의가 지연되고 시청으로부터 서류 보완 요청을 여러 차례 받다 보니 올해 1월 말에야 공장을 돌렸다.| 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지방자치단체 규제개혁을 위한 민관 합동토론회’에서 강병규(왼쪽에서 세 번째) 안전행정부 장관 등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
|
|
집권 2년차를 맞아 전방위 규제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는 정부가 중소기업의 투자를 제한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규제를 본격적으로 손질하기로 했다. 안전행정부는 지자체에 등록된 전체 규제의 10% 이상을 줄이고 기업 투자를 위한 인·허가 전담창구 확대 등을 뼈대로 하는 ‘지자체 규제개선 대책’을 7일 발표했다.
강병규 안행부 장관은 “지방의 규제를 개혁하는 것이 국민 피부에 와 닿는 실질적인 규제 개혁”이라면서 “지자체 244곳과 협력해 작은 규제라도 하나씩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강 장관과 기획재정부, 환경부 등 중앙정부 관계자, 전국 시도 17곳 부단체장,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를 포함한 경제단체 관계자 등 총 300여명이 참석한 ‘지자체 규제개혁 민관 합동 토론회’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지자체의 소극적 행정 집행으로 인·허가 등이 지연된 사례와 불합리한 민원 처리 실태 등을 공유하고 지방규제 개혁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그런데 지자체 등록규제 중 83.6%(4만 3946건)는 위임사무로부터 비롯된 규제다. 조례, 규칙 등에 근거한 지자체 자치사무 규제 비중은 16.4%(8595건)에 불과하다. 때문에 지자체 규제를 일괄 정비하기 위해서는 법률 제·개정 작업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자체의 규제 개선 목소리는 중앙정부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2010~2012년 지자체가 중앙정부에 전달한 규제 개선 건의 안건 총 2903건 중 ‘수용 곤란’ 판정을 받은 안건은 전체의 65.0%(1887건)를 차지했다.
박성환 울산시 행정부시장은 “지방에서의 규제 권한 대부분이 중앙부처 규제에 예속돼 있는 게 현실”이라면서 “중앙정부는 지자체의 규제 개선 건의를 대폭 수용하고 관련 법률 제·개정 지연으로 인한 지방행정의 불편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4-04-0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